그 남자의 첫 몽정(13세), 첫 섹스(23세), 첫사랑(26세), 첫아기(28세). 그의 첫 외과 수술, 즉 코 막힘과 코골이의 원인이 되는 코 안의 용종 제거 수술(27세), 오른팔 안쪽에 생긴 첫 검버섯(44세), 노안에 난생 처음 쓰게 된 안경(45세), 처음으로 본 손자(53세), 신용카드 비밀번호를 처음으로 망각한 일(62세).
이뿐만이 아닙니다. 49세 때 갑자기 찾아온 이명과 친구 되기, 60세가 넘어서면서 평생을 갈 것 같았던 아내와의 욕망이 사그라진 현상. 알츠하이머에 대한 공포, 손자의 동성애를 접한 70대 할아버지의 당혹스러움, 오랜 친구들과의 이별 그리고 갑작스런 손자의 때 이른 죽음. 그리고 시간 앞에 허물어져가는 자신의 육체. 마지막으로 세상과의 이별을 준비하기.
그렇습니다. 이 남자의 일기는 보통의 일기와 다릅니다. 우리가 그간 엿보았던 대부분의 일기는 내면의 정신 상태를 기록한 것이죠. 그런데 이 일기는 표면적으로는 철저히 '몸'에 초점을 맞춥니다. 우리는 그 몸의 일기를 읽으며 비로소 알게 되죠. 그 남자의 몸에는 사랑, 갈등, 관계, 과학, 역사 등 세상의 온갖 것들이 가로지르고 있다는 사실을요.
우리는 그 남자의 몸의 일기를 엿보면서 한 남자의 자아를 찾아가는 긴 여정에 동참할 수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얽히고설킨 온갖 등장인물의 이야기는 덤이고요. 이 특별한 일기를 프랑스 작가 다니엘 페나크가 <몸의 일기>(조현실 옮김, 문학과지성사 펴냄)로 펴냈습니다. 페나크가 누구냐고요?
페나크는 '말로센 시리즈', 어린이 책 '까모 시리즈', <소설처럼>, <학교의 슬픔> 같은 소설, 에세이 등을 통해서 프랑스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적지 않은 팬을 가지고 있는 작가입니다. 이 페나크가 일기 형식을 빌려서 '소설인 든 소설 아닌 소설처럼' 써내려간 작품이 바로 <몸의 일기>입니다.
<프레시안>과 문학과지성사는 이 <몸의 일기>를 먼저 읽은 여덟 명의 독후감을 매주 화요일, 금요일 두 차례씩 연재합니다. 20대의 젊은 작가, 40대의 의사, 60대 70대의 노(老)작가까지 다채로운 빛깔의 독후감이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두 번째 독후감의 주인공은 40대 후반의 여성학 연구자 정희진 씨입니다.
'역사'에 저항하는 일기
40대 후반에 지병을 앓고 있는 여성. 병력 10년. 나 같은 여자의 '앓는 소리'를 좋아할 사람은 없다. 그러니 내 몸의 일기―비만, 우울, 만성 통증, 단속적(斷續的) 수면, 악몽, 시력 감퇴, 무기력, 미래 없음, 진로 없음―는 공개하지 않으려고 한다. 그러나 나의 일기는 '아직'이지만 여러 사람의 몸의 일기가 나와야 한다.
몸은 정치학이고 나이 듦은 제도이다. 흔히 몸은 정체(政體), 즉 유기체로서의 사회에 비유되어 왔다. "수족 부리듯", "보스의 오른 팔", "수장(首長)"…… 몸이 비유의 수원지가 된 순간부터 문명은 시작되었고 인간은 자신과 지구를 망치게 되었다. 몸이 비유의 대상이 될 때 몸 자체는 인식의 대상에서 사라지기 때문이다. 서구 철학의 오랜 전통인 몸과 마음의 이분법이 그것이다.
개인의 몸은 자치(自治)의 보루, 정치의 최전선이다. 몸에 따라 정치적 입장, 윤리, 삶이 바뀐다. 내가 파악한 이 책의 강력한 효과는, '나이'가 사회가 만든 모순이자 사회를 구성하는 주요소임을 확인시켜주는 것이다. 하지만 "나이 먹으면……"으로 이야기가 시작되면 "신세 한탄" "꼰대의 심술" "보수적이 된다"의 접두사처럼 들리기 쉽다. 온 사회가 나이 듦에 대한 공포와 비하에 젖어 있어서, 몸의 변화는 세대 차이의 이치로 오해된다.
예전에 몇몇 신문사들이 글자 크기를 키우고 사진을 많은 넣는 등 '시각적 편집'을 시행한 적이 있다. 당시 나는 '글자 크기를 크게? 내용은 줄고? 이건 문맹 정책이야! 콘텐츠 축소야! 사회가 반(反)지성으로 가고 있어!'라고 분개했다. 그런데 요즘은 내가 기고한 신문의 글씨도 못 읽는다. 글씨가 흔들린다. 좌우 시력 2.0. 그런 시절은 갔다. 지금은 신문이든 책이든 글자 크기가 컸으면 좋겠다.
개인적으로는 젊지 않은 이 상태가 좋다. 젊은 날로 돌아가라면, 난 정말 죽어버릴 것이다. 어떤 의미에서 나이 듦의 의미는 단 하나다. 기존에 옳다고 생각했던 수많은 기준들에 변화가 오는 것이다. 그리고 그 변화로 인해 사람들과 갈등하게 된다. 흔히 페미니즘을 서구 중산층 이성애 중심주의의 산물이라고 하는데, 더 핵심은 페미니즘이 '젊은' 여성 중심이라는 점이다.
정치적 견해가 다른 친구들과 싸우는 일이 잦다. 나이 어린 그들은 젠더와 나이의 연관을 보지 못한다. 하지만 가부장제는 나이와 젠더의 교직(交織)이다. 나이는 젠더 자체를 전복한다(가부장제는 '젊고 예쁜' 여성을 우대한다). 그래서 나는 '흑인' 남성과도 백인 '여성'과도 연대가 어려운 '흑인 여성'과 같다. 내 또래의 남성들과도 대화가 안 되고 나랑 나이 차가 나는 여성들과도 대화가 어렵다. 나는 이제 비사회적인 인간에서 반사회적인 인간으로 진화하고 있다.
성별과 나이 모두 자연의 원리가 아니라 인간의 해석이다. <몸의 일기>처럼 몸의 이야기가 있을 뿐이다. 노안, 머리숱, 피부의 결…… 나이 듦의 현상은 비슷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을 내가 말하는 것과 사회가 규정하는 것은 큰 차이다. 이것이 정치의 핵심이다. 개인의 이야기와 몸에 대한 통념은 대립한다. 보편적이라고 인식되는 몸의 과학(정상성)은 제도가 되어 우리를 억압한다. 일반화에 저항하기 위해 인간은 모두 일기를 써야 한다. 몸은 개별적인 이야기이고 그래야만 통치가 어려워진다. 몸 경험의 다양성이 여기저기서 발화되어 나이에 대한 공유된 개념(History)을 교란시켜야 한다. <몸의 일기>를 참조하라.
(40대 여성 정희진 씨는 여성주의 관점에서 학문 간 경계를 넘나드는 공부와 글쓰기를 지향합니다. 지은 책으로 <페미니즘의 도전>(교양인 펴냄), <정희진처럼 읽기>(교양인 펴냄), <저는 오늘 꽃을 받았어요 : 가정 폭력과 여성 인권>(또하나의문화 펴냄) 등이 있고, 40여 권의 편저와 공저가 있습니다.)
다니엘 페나크(Daniel Pennac)는…
본명은 다니엘 페나키오니. 1944년 모로코 카사블랑카에서 태어나, 군인인 아버지를 따라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등지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학창 시절에는 열등생이었으나, 그 시기에 독서에 남다른 흥미를 갖게 되었다. 프랑스 니스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받고 26여 년간 중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1973년부터 작품 활동을 시작했는데, '말로센 시리즈'와 어린이 책 '까모 시리즈'에서 보여준 기발한 상상력과 재치 넘치는 표현으로 대중성과 문학성을 두루 인정받으며 작가로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밖에 강압적인 독서 교육을 비판하고 책 읽기의 즐거움을 깨우치는 <소설처럼>(문학과지성사 펴냄), 열등생이었던 어린 시절의 자전적 경험을 담은 <학교의 슬픔>(문학동네 펴냄) 등의 에세이와 소설, 시나리오를 발표했으며, 한 남자가 10대부터 80대까지 몸에 관해 쓴 일기 형식의 소설 <몸의 일기>는 2012년에 발표되자마자 독자들을 사로잡으며 화제작으로 떠올랐다.
1995년부터 교직에서 물러나 집필 활동에 전념하고 있지만, 정기적으로 교실을 찾아다니며 학생들을 만나고 있다. 미스터리 비평상(1988년), 리브르앵테르 상(1990년), 르노도 상(2007년)을 수상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