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안철수-박근혜-문재인, 역사의 거울에 그들을 비춰보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안철수-박근혜-문재인, 역사의 거울에 그들을 비춰보다

[12] 윤여준, 원희룡이 보는 안-박-문

▲ 이미지를 클릭하면 동영상이 재생 화면이 나옵니다.

1987년 새 헌법이 제정된 이래 대통령 선거는 5년마다 12월에 열립니다. 2012년 다시 5년을 책임질 대통령을 뽑습니다. 2012년 12월. '12'라는 숫자가 갖는 의미가 남다릅니다. 그렇다면 왜 '12번째' 인물일까요?

1948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과 함께이승만대통령이 장기 집권한 뒤 1960년 4.19 혁명의 결과로 의원내각제로 바뀌며장면총리 정부가 탄생했습니다. 당시 대통령은윤보선이었습니다. 그러나 1961년 5.16 쿠데타로 장면-윤보선 체제는박정희대통령의 등장과 함께 단명하고 맙니다. 박정희 대통령은 1979년 10.26으로 서거할 때까지 18년을 집권했고, 박 대통령 사후최규하대통령이 잠깐 집권하지만 이 또한 12.12쿠데타를 일으킨전두환대통령이 집권하면서 1980년 취임하면서 짧게 끝이 납니다. 1987년 개헌과 함께 대통령 직선제가 부활한 뒤노태우,김영삼,김대중,노무현,이명박대통령을 거쳐12번째 인물을 뽑을 때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박근혜? 안철수? 문재인? 손학규? 김두관? 대선 레이스가 시작되면서 수많은 기사가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각 인물들을 철저하게 검증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는 투표일이 되면 후보들을 기호 순으로 나열하고 객관식 문제 풀 듯 정답을 하나 적어 낼 것입니다.

그렇지만 그 이전에 과연 '어떤 인물이 대통령이 돼야 하는지', '대통령의 자격은 무엇인지', '한국 사회에 필요한 대통령은 누구인지', 기본부터 진지하게 묻고자 합니다. 내가 먼저 채점 기준을 세워야 후보들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지 않을까요. 그래야만 투표일에 보기 중 정답을 제대로 고를 수 있겠죠. 물론 '답 없음'(기권, 무효표)을 당당하게 선택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정치평론가 고성국 박사의 사회로 보수와 진보로 나눠 두 번의 좌담을 진행했습니다. 첫 번째로는 지난 3월 윤여준 전 장관과 원희룡 전 의원이 이승만 대통령부터 이명박 대통령까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의 대통령들에 대해 평가하면서 대통령의 자격과 리더십에 대해 대화를 나눴습니다. 두 번째로는 지난 6월 박영선, 노회찬 의원을 초청해 진보의 의미와 가치, 과제들에 대해 대화를 나눴습니다.

이번 기획은 젊은 기획자와 디자이너, 작가들로 구성된 크리에이터 커뮤니티 'RE:ER'(리어)의 기획으로 <프레시안>이 함께 진행했습니다. 8월 22일부터 9월 7일까지 매일 12시(정오. 주말 제외) 동영상이 발행됩니다.


▒ 기획.제작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