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당 싱크탱크인 진보정치연구소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1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49%가 권영길 의원을, 28.6%가 노회찬 의원을 각각 적합한 대선후보로 꼽았다. 심상정 의원과 문성현 대표는 각각 7.4%, 3.3%의 지지율을 보였다.
한편 4개 영역별 이미지 적합도 조사에서는 권영길 의원과 노회찬 의원이 각각 2개 부문에서 선두를 차지했다. 권 의원은 '한반도 평화와 통일' 영역과 '노동자·농민·서민 대표성'에서, 노 의원은 '사회개혁과 정치진보', '양극화 해소와 사회복지' 영역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대선후보 선출 방식은 60% 이상이 '당원직선제'를 선호했다. 당원들에 의한 후보 선출 방식이 채택될 경우, 현 시점에서 민노당 대선후보로는 권영길 의원이 가장 유리한 고지에 서 있는 셈이다.
진보정치연구소는 "분야별 적합도와 상징성에서는 네 후보의 격차가 상당히 좁혀진 결과를 보였다"면서 "각 분야에 대한 상징성과 정책대안을 높이는 방향으로 당의 대선준비가 구체화된다면 후보 간의 경쟁력도 상당부분 대등한 국면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 |
"북한 핵실험…"자위권 차원에서 인정" 67.1%
한편 "'북한의 자위권 차원에서 핵실험을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에 공감하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67.1%가 "공감한다"고 답했다. 이 중에서 "대체로 공감한다"는 의견은 35.2%였으며, "매우 공감한다"고 답변한 응답자도 31.9%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전체의 30.4%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충청권에 거주하는 당원의 경우 "공감한다"는 의견이 78.9%로 가장 높았으며, 호남지역의 당원이 77.1%로 그 뒤를 이었다. 서울지역의 당원들은 60.3%에 그쳐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최근 민노당 일부 당직자와 당원들이 포함된 공안사건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0%가 "이는 신공안정국 조성을 위한 조작사건"이라고 응답했다.
'당의 가장 취약한 이미지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1.5%가 "소수정당이라 현실적인 힘이 부족한 점"을 꼽았고, 21.5%는 "민주노총 등 노동계에 편향된 당"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급진 운동권 정당'과 '친북정당'이라는 이미지가 가장 취약하다"고 답한 응답자도 각각 14.2%, 7.7%로 나타났다.
이번 여론조사는 국내에 거주하는 당원 1076명에게 전화설문을 받아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