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하위 20% 자산이 5만 원 늘 동안 상위 1%의 자산은 3억8923만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연대 조세재정개혁센터(소장 강병구, 인하대학교 경제학과 교수)가 23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가계금융복지조사‘(2011년, 2012년)와 전순옥, 최재성, 홍종학 등 국회의원실에서 발표·제공한 자료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상위 1%의 자산과 소득을 분석·비교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를 보면, 소득 1분위(하위 20%)의 경우 총자산이 2011년 1493만 원에서 2012년 1498만 원으로 5만 원 늘어나는 데 그친 반면, 상위 1%는 2011년 39억6009만 원에서 2012년에는 43억4932만 원으로 3억8932만 원 증가했다.
또한, 전체 가구의 자산에서 상위 1%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9.9%에서 2012년 11%로 증가했지만 하위 20%는 1.1%에서 0.9%로 하락했다.
소득의 경우에도 상위 1%가 근로소득에서는 6% 남짓 비중을 차지했지만 거액 자산과 투자를 통한 이자소득이나 배당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44.8%와 72.1%에 달했다.
상위 1%의 전체소득점유율은 1998년 6.58%에서 2010년 11.76%, 2012년에는 12.23%로 높아져 소득과 자산 모두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음이 확인됐다.
순자산을 비교한 수치에서는 하위 20%의 경우,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이 2011년 –70만 원에서 2012년 261만 원으로 증가했지만 총자산은 5만원 증가에 그쳤다. 이는 자산증가의 대부분이 빚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지난해 소득 하위 20%의 가계부채 증가율은 24.6%로 다른 소득 계층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며, 전체 가구 평균 8%에 비하면 3배 이상 높았다.
참여연대는 "상위 1%가 어느 정도의 소득과 자산을 가져가야 한다는 정답은 없다"며 "하지만 심각한 소득과 자산의 양극화는 정부가 목표하는 소비심리 회복이나 경기활성화에도 악영향을 끼치는 것이 자명하다"고 평가했다.
한편, 참여연대는 ’상위 1%‘로의 자산과 소득의 집중을 보여주는 인포그래픽 보고서를 연말까지 3회에 걸쳐 발표할 예정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