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최고 권력기구인 국방위원회가 지난 18일 유엔 인권결의안이 통과된 것을 강하게 비판하며 초강경대응전을 선포했다. 앞서 북한 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 ICC에 회부하라고 권고하는 북한인권 결의안이 압도적인 표차로 유엔총회 제3위원회를 통과했다.
국방위는 23일 발표한 성명을 통해 "우리 군대와 인민은 미국과 그 하수인들이 유엔 무대를 악용해 조작해낸 인권결의를 전면 거부, 전면 배격한다"고 밝혔다.
이어 국방위는 "인권은 곧 자주권이고 해당 나라의 국권"이라며 이번 결의안 통과는 "우리 국권을 해치려는 가장 노골적인 선전포고"라고 비난했다.
특히 미국에 대한 분노를 숨기지 않았다. 국방위는 "며칠 전 오바마의 친서까지 들고 찾아온 미국 고위관리들을 아량 있게 대해주었고 여러 명의 미국 국적의 범죄자에게도 인도적인 관용을 베풀어주었다"며 "그러나 미국은 대조선 인권소동에 광분하는 것으로 응수했으며 그로 하여 우리의 무자비한 보복세례를 받을 첫 과녁이라는 것이 명백해졌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군대와 인민은 오바마 정부가 저지른 범죄를 놓고 우리 앞에 무릎을 꿇고 정식 사죄할 것을 촉구한다"며 자신들의 '전면 배격' 입장이 "일본과 EU, 박근혜 패당에게도 무사할 수 없다는 것을 알리는 포고이고 유엔도 서둘러 공정한 수습조치를 취하라는 경고"라고 강조했다.
한국의 태도도 문제 삼았다. 국방위는 "대조선 인권결의를 두고 그 무슨 경사나 난 것처럼 까불며 입을 다물 줄 모르는 박근혜 패당에게 따져 묻는다"며 "이 땅에 핵전쟁이 터지는 경우 과연 청와대가 안전하리라고 생각하는가"고 반문했다.
국방위는 "유엔은 20여 년 전 우리 공화국이 나라의 최고이익을 수호하기 위해 정의의 핵선언 뇌성을 울렸던 때를 상기해볼 필요가 있다"며 1993년 핵무기비확산조약(NPT) 탈퇴를 거론해 앞으로 제4차 핵실험 등으로 대응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