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청소년 150명이 일본 내 핵발전소 사고 지역인 후쿠시마를 방문하는 것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방사능 오염 우려가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굳이 아이들을 보내야 하느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7월 29일부터 다음달 7일까지 일본에서는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 기념행사'가 열린다. 일본 외무성이 후원하고 비영리특정법인 후쿠칸네트가 주관하는 이 행사에는 전주 지역 청소년 등으로 구성된 한일청소년문화교류단 150여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7월 29일부터 다음달 7일까지 일본에서는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 기념행사'가 열린다. 일본 외무성이 후원하고 비영리특정법인 후쿠칸네트가 주관하는 이 행사에는 전주 지역 청소년 등으로 구성된 한일청소년문화교류단 150여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이런 계획을 놓고서 김제남 정의당 탈핵에너지전환위원회 공동위원장은 28일 보도 자료를 내 "우리나라 청소년 150명의 후쿠시마 방문 행사는 즉각 취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후쿠시마는 지난 2011년 3월 11일 인류 역사상 최악의 핵발전소 사고가 발생한 지역"이라며 "사고발생 4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방사능이 계속 누출되는 등 사고 수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미 우리 외교부는 후쿠시마현에 대해 남색 경보인 '여행 유의' 단계를 발령한 바 있다"며 "후쿠시마 핵발전소 반경 30킬로미터 이내 지역과 후쿠시마현 내의 이이다테무라, 가츠오므라, 가와마타마치 남부와 미나미소마시 서부, 나미에마치 서부 지역은 적색 경보인 철수 권고 단계가 발령된 지역"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외교부는 150명이나 되는 청소년들이 후쿠시마를 방문한다는 사실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민 안전을 무책임하게 방기했다는 질책을 면하기 어렵다"고 질타했다.
방사선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도 지적했다. 그는 "후쿠시마 지역은 18세 이하 청소년 갑상선암 발병률이 통상적인 발병률 대비 100배 이상 높은 지역"이라며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사고 이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18세 이하 갑상선암 조사 결과, 30만 명 중 104명이 갑상선암 확진,의심 판정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그는 "주최 측은 참가자와 우리 국민에게 사과하고 즉시 프로그램을 취소할 것을 촉구한다"며 "우리 외교부 또한 이번 방문 행사에 대해 즉각 취소 권고를 내리고 일본 외무성에 사실 관계를 확인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