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가뭄으로 전국의 많은 농가가 시름을 앓고 있는 가운데 충남도가 대책회의를 개최하는 등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충남도는 9일 도청 재난종합상황실에서 가뭄재난안전대책회의를 개최, 가뭄 피해 및 대응 상황을 공유하고 향후 대책을 논의했다.
안희정 충남도지사, 대전지방기상청, 32사단, 충남지방경찰청, K-water, 한국농어촌공사, 농협중앙회 등 유관기관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회의에서 신동헌 충남도 대책본부 통제관은 “올 들어 도내 누적 강수량은 167.5mm로 평년의 57%, 지난달 누적 강수량은 33.7mm로 평년 93.7mm의 36% 수준에 불과하다”며 “이로 인해 보령댐 저수율이 9일 현재 9.7%로 떨어지고, 898개 저수지 평균 저수율은 평균 35.9%로 평년의 59.8%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지하수 수위 저하로 인한 국지적 용수 부족, 청양 정산농공단지 공업용수 부족, 서산 천수만A지구 간척농지 염해, 벼 작물 13㏊ 물 마름, 밭작물 11㏊ 시들음, 마늘·양파 등 수확량 감소 등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보고했다.
이어“도대책본부는 그동안 금강-보령댐 도수로 가동, 7167억 원 규모의 가뭄 대응 사업 건의, 노후관로 교체, 누수 탐사, 관정 개발, 대산임해산업지역 공업용수 추가 공급 등을 추진해왔다”며 “앞으로는 가뭄 지역 병물 공급 준비, 상습 가뭄 지역 다목적 용수 개발 사업 추진, 모내기 이후 물 부족 예상 지역 추가 대책 지속 추진, 보령하수처리수 신보령화력 공급 등 물 재이용을 단기적으로 추진하고 장기적으로는 충남 서부광역상수도 사업과 대산단지 해수담수화 사업, 아산호-삽교호-대호호 수계 연결 사업 등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K-water 관계자는 “단기 대책으로 ‘대청 Ⅲ단계 광역상수도’ 우선 시행 구간 부분 통수, 아산 공업용수도 여유량 대산 5사 공급 등을 추진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대청 Ⅲ단계 광역상수도 조기 완료와 서부권 광역상수도, 해수담수화 사업 등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국농어촌공사 관계자는 “퇴수 재활용, 양수 급수 및 간단관계, 하상굴착, 암반수 개발 등의 단기적 대책을 실시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여유수원 용수 가뭄지역 연계, 토공 수로 구조물화, 저수지 용량 증대, 지하댐 개발 등을 펼치겠다”고 소개했다.
안희정 지사는 “도는 지난 5년 간 물 부족에 대비해 대청댐, 용담댐과 연결하고, 도수로 개통, 지역 거점 관정 개발 등을 추진해 왔으나, 현재와 같이 가뭄 상황이 지속된다면 심각한 상황이 우려된다”며 “민선 5·6기 7년 동안 벌써 세 번째 가뭄 상황이다. 최악의 상황을 전제하고 대책을 세우라”고 지시했다.
이와 함께 “아산호, 삽교호, 대호호, 부사호 연계망과 서부광역상수도망 구축, 지하수 총량 관리 등 장기 대응과 함께 생활·농업·공업용수 소비 패턴을 어떻게 바꿀지, 작목 전환까지 구조적인 대응책을 마련하자”고 덧붙였다.
안 지사는 특히 오는 14일 청와대에서 열릴 예정인 문재인 대통령과 광역자치단체장과의 첫 간담회에서 “가뭄 대책과 일자리를 연동한 사업을 적극 제안하겠다”며 각 유관기관들도 사업을 발굴해 줄 것을 당부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