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창군은 내년도 환경부 신규사업 대상지역으로 선정돼 '지방상수도 현대화 사업'을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이 사업은 내년부터 오는 2022년까지 총 사업비 394억을 투입해 81.87km의 노후 상수도관을 정비하고, 상수관망 545km에 대한 누수탐사와 블록시스템, 통합제어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군은 오는 2018년 기본 및 실시설계를 시작해 오는 2022년까지 사업을 완료할 계획이다.
고창군에 설치된 상수관로 총 연장은 1254km에 달하며, 이 중 약 11%인 147km에 달하는 상수관로가 20년 이상 된 노후관로로 잦은 누수발생과 유수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고창군 정수장에서 생산된 총 송수량 중 요금으로 징수되는 수량을 나타내는 비율인 유수율은 53.6% 수준 밖에 되지 않아 전국 평균인 83.7%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또한 물 공급의 효율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인 누수율 또한 41.6%에 달해 지방공기업회계의 재정건전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5년간 고창군 상수도 누수발생 건수는 7027건으로 복구비용만 23억여원이 소요되는 등 막대한 재정이 소요돼 왔다.

블록시스템은 상수관망에서의 수압, 유량, 수질 등의 현황파악이 용이하고 관로의 개량, 교체, 관 파손사고, 관 세척과 같이 단수가 필요한 유지관리 업무 수행 시 신속하고 정확한 업무처리가 가능하다.
군은 블록시스템 중요지점에 유량계, 수압계 같은 감시시설과 감압밸브 등 제어설비를 설치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배수관리가 가능토록하고, 재해에도 강하고 복구하기에도 쉬운 배수관망을 형성해 복구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상수도 시설물 유지관리를 통해 안정적 수돗물 공급과 버려지는 수돗물도 줄여 나갈 방침이다.
박우정 군수는 "노후 상수도 현대화는 사업비가 매우 커서 군비만으로는 해결하기가 힘들지만 가뭄 시 용수 공급과 반복되는 용수부족 문제를 비롯해 땅 속으로 버려지는 어마어마한 수자원의 낭비를 막고 군민들에게 맑은 물을 공급하는데 꼭 필요한 사업으로 그 어떤 사업보다도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하는 사업"이라며 "이번 사업비 확보로 현재 53.6% 수준에 불과한 유수율을 오는 2022년에 85%까지 끌어올려 지방상수도 운영과 관리 등에 대한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 군민들에게 안정적으로 맑은 물을 공급해 나가도록 사업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