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 측근 김해수 한국건설관리공단 사장(전 청와대 정무1비서관)의 부산저축은행 비리 연루 의혹을 KBS가 단독 취재해놓고 보도를 미룬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일고 있다. 권력의 외압으로 보도가 통제됐거나, KBS 보도국 간부들이 정권에 불리한 보도를 막으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된다.
KBS 새노조는 16일 노보를 내고 "보도국 사회2부 법조팀은 지난주 청와대 정무 제1비서관 출신이자 이명박 대통령 후보 캠프 비서실 부실장을 지낸 김해수 한국건설관리공단 사장이 부산저축은행 비리에 연루됐다는 구체적인 녹취를 확보하고 검찰 쪽의 확인도 받았다"며 "이에 따라 법조팀은 지난 13일 편집회의에 발제하고 9시뉴스에 보도할 예정이었으나 임창건 보도국장이 '김 전 비서관쪽에서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며 하루 더 추가취재를 하라고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결국 이 내용은 SBS가 14일 '단독 보도'라는 타이틀로 내보냈다. KBS가 단독 취재를 하고도 낙종한 꼴이다. 새노조는 "한국방송은 특종을 취재하고도 앉아서 물을 먹은 꼴이 되었다"고 한탄했다. 새노조는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에 대한 집중보도가 방영되지 못한 뒤 연이어 권력 비판 기사가 가로막히는 상황이 생기고 있는 셈"이라며 외압 의혹을 제기했다.
새노조는 또 김 사장이 KBS가 작성한 원고 내용을 미리 알고 있었다는 정황이 있다고 주장했다. 새노조는 "SBS 보도 뒤 임창건 국장은 뉴스 후반부(30번째)에 있는 관련 리포트를 11번째로 끌어올렸으나 이 과정에서 김 전 비서관이 원고내용을 구체적으로 지목하며 한국방송에 항의하는 일까지 벌어졌다"며 "한국방송 간부들 가운데 누군가가 원고내용을 귀띔해 준 것으로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KBS 기자협회는 20일 보도위원회를 열어 보도국 간부들에게 기사누락 경위에 대해 해명을 요구할 예정이다.
KBS 홍보실은 "김해수 사장 보도가 늦춰진 것은 공영방송 뉴스로서 관련 내용에 대해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 보도국 데스크 차원에서 보강 취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