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사천 소재 KAI(한국항공우주산업㈜)가 방위사업청과 한국형 전투기 KF-21 최초양산 항공기에 대한 PBL(성과기반 군수지원, Performance Based Logistics)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PBL 계약은 지난 6월 계약을 체결한 최초 양산 물량을 대상으로 하며 계약 금액은 1243억 원 규모로 기간은 올해 12월부터 2027년 12월까지 3년이다.
KAI는 이번 사업을 위해 KF-21 전력화 이후 운영에 필요한 수리 부속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효율적인 정비 지원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항공기 가동율 향상 등 국가 항공전력 강화는 물론 운영유지비 절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AI 강구영 사장은 “이번 계약으로 KAI가 개발한 모든 국산 항공기의 PBL Line-up이 구축됐다”며 “한국 공군의 차세대 핵심전력인 KF-21이 최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KAI의 모든 후속지원 역량을 동원해 최적의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KAI는 15년 동안 쌓아온 국내 후속지원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1000여 대 이상 운영될 국산 항공기의 PBL 사업을 지속 확대해 핵심사업 군으로 육성한다는 전략이다.
KAI는 지난 2010년 한국공군의 KT/A-1을 시작으로 T-50 계열 수리온 계열 항공기로 PBL 사업을 이어 왔으며 올해 수출 기종 최초로 필리핀 FA-50PH의 PBL 계약을 체결해 명실상부 개발‧생산에서 후속지원까지 책임지는 Total Solution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통상 항공기는 수명주기 동안 성능개량을 포함한 후속지원 비중은 항공기 획득 비용의 2~5배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F-21 PBL 사업도 향후 30년간 약 5조 원 이상의 사업 규모가 전망된다.
KAI는 현재 KF-21의 시험비행을 안정적으로 진행하는 동시에 최초 양산 물량의 적기 납품을 위해 기체구조물 제작과 최종 조립 생산라인 구축을 차질없이 추진 중이다.
KF-21 시험비행은 지난달 말 1000쏘티 무사고 비행을 달성하며 전체 시험비행 2000쏘티 중 절반을 성공리에 마치고 반환점을 돌았다.
2015년 시작된 KF-21 체계개발 사업은 개발기간 10년 6개월로 2026년 6월 개발 완료 목표이며 같은해 한국공군에 전력화 예정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