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와 기업도시를 잇는 '대학도시' 조성 방안이 전북 정치권에서 공식 제안될 것으로 보여 관심이 쏠린다.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전북 익산을)은 18일 오전 11시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지방소멸, 대학이 살린다'라는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연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혁신도시와 기업도시를 잇는 대학도시의 개념이 제시될 예정이다. '대학도시'는 대학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도시 발전 모델로 기존의 혁신도시와 기업도시의 개념을 발전시켜 국가균형발전과 지방소멸 대응을 위해 새롭게 제안되는 도시 모델이다.
도심에 위치한 대학의 부지와 시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일자리와 교육, 연구, 주거, 문화가 유기적으로 연계된 자족형 복합 도시를 지향한다.

지방 대학의 위기와 청년 실업은 물론 주거 불안의 해결책으로 '대학도시' 조성이 정치권에서 처음 제안되는 것이어서 향후 구체적인 실행 가능성에 이목이 집중된다. 대학 내 기업 유치와 고품질 주거시설 확충에 대한 방안도 다룬다.
한병도 의원은 "지방 중소도시와 대학들이 위기에 처한 상황"이라며 "대학이 청년에게 일자리와 주거를 제공하고 기업에는 산업공간을 마련할 방법을 찾겠다"고 밝혔다.
기조 강연에는 이광재 전 국회사무총장이 '국민행복 7공화국의 혁신기지, 대학'을 주제로 대학도시의 개념을 설명하고 김헌영 RISE 위원회 위원장은 '대학도시의 과제'를 발표한다. 김세용 경기주택도시공사 사장은 '대학, 균형 발전의 엔진'이라는 주제로 발제를 이어간다.
김영호 교육위원장과 맹성규 국토교통위원장도 대학도시 개념 정립과 법적 지원을 위한 노력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대학도시'의 향후 과제로는 도심 내 입지한 대학부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현재 국립대 부지면적는 월드컵경기장 631개 규모에 해당하는 4144만평(월드컵경기장 631개)에 육박하며 학술림과 농지 등이 많은 실정이다.
또 대학 강의실 공간활용률이 52.8%에 만족하는 데다 실험실습실 활용률은 28.8%에 그치는 등 다수의 공간과 실습실을 기업들이 활용하는 방안도 과제 중 하나로 손꼽힌다.
이밖에 접근성 높은 도심 소재 대학 부지에 기업유치와 주거단지를 조성하는 방안도 고민해야 할 것이다.
미국 스탠퍼드 학부생 6900여 명 중 93%가 학교 안에 상주하고 MIT 학부생 4530명 중 92%도 교내에 거주하고 있다.
이런 과제의 실현 가능성 토론과 함께 지역내 일각에서는 "인구소멸지역의 2030세대들이 수도권을 향해 엑소더스하는 것은 직장과 교육 문제가 가장 큰 원인"이라며 "이번 기회에 수도권의 유수 국립대학 지방 캠퍼스 설립 등도 교육 기반시설의 분산을 적극 검토해 볼만 하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고급인력의 수도권 집중화와 지방대생의 수도권 기업 편입 등을 최소화하고 인력 균형발전을 통해 서울과 지방이 상생하기 위해서는 대학의 지방 분산도 고민해 볼만 하다는 지적이다.
상공업계의 한 관계자는 "영국의 옥스퍼드나 케임브리지 대학, 미국의 하버드 등 선진국 명문대학은 대부분 수도가 아닌 지방의 작은 도시에 있다"며 "우리도 '대학도시' 개념 제안에 맞춰 수도권 국립대학의 지방 분산화를 검토해 볼만 하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