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에 제기된 각종 민원이 최근 3년 새 2배 가까이 증가하는 등 매년 눈덩이를 이루고 있어 정확한 원인 분석과 대책 마련이 요청된다.
30일 국민권익위원회가 '민원분석시스템'을 통해 수집된 민원빅데이터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광역단체인 전북자치도에 접수된 민원은 지난해 총 4292건으로 적년(3725건)보다 15.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에 전국 17개 광역단체에 제기된 민원이 14.2% 감소한 것과 비교할 때 극히 대조적이다.

전북자치도 민원은 2021년엔 2259건이었으나 이듬해에 2491건으로 소폭 늘어난 후 2023년에 3875건을 기록해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 증가율 3위에 랭크되기도 했다.
3년 전인 2021년과 비교할 경우 90% 급증하는 등 전북자치도에 대한 민원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국민권익위는 전북자치도 민원이 급증한 것과 관련해 2023년의 경우 아파트 내 소방차 전용구역 불법주차와 물건 적재 신고 등이 크게 늘어났다고 밝혔다. 최근에는 교통 관련 민원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에 전북교육청 관련 민원은 보합세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2021년 2415건에서 이듬해엔 2151건으로 줄어든 후 지난해에도 2159건에 만족했다.
전북에서 지난해 발생한 민원 총 건수는 총 29만8638건으로 같은 기간 중에 발생한 전국 민원은 총 1403만8337건의 2.1%를 차지했다.
전북의 '인구 1만명당 민원 건수'는 지난해에 1714건으로 전국 17개 시·도에서 가장 적었으며 대전(3906건)과 비교할 때 44% 수준에 불과했다.
민원이 많은 곳은 울산(3345)과 광주(3299건) 등의 순이었고 민원이 적은 곳은 전북에 이어 강원(1765건)과 제주(1787건) 등으로 분석됐다.
'민원분석시스템'은 국민신문고와 지자체 민원창구 등에 접수된 민원 빅데이터(Big-Data)를 종합적으로 수집·분석하기 위한 국민권익위의 범정부 민원분석시스템이다.
지난해 접수된 민원 중 장애인 전용구역 등 '불법 주정차'가 가장 많았고 이어 현수막 철거 등 '불법 광고물' 관련 민원이 많았다.
전북자치도에 대한 민원이 늘고 있는 것과 달리 인구 1만명 당 전북의 민원이 가장 적은 이유는 통학로 등 교육 관련 시설 투자에 적극 나서온 데다 교통법규 위반 신고도 수도권 등 대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것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또 수도권과 대도시에서 많이 발생하는 광역급행철도(GTX)나 신도시와 아파트 관련 민원 등이 아예 없거나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분야별로는 전년도와 비교해 인터넷쇼핑몰 등 물품구매·환불·피해·불만 등이 발생한 산업·통상 분야가 가장 많이 증가(31.3%)했다.
한편 국민권익위는 국민 누구나 언제든지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민원빅데이터 동향 '국민의 소리'를 비롯한 각종 민원분석 자료를 '한눈에 보는 민원 빅데이터' 누리집에 공개하고 있어 언제든지 찾아볼 수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