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기초단체별 '소멸위험지수'를 분석한 결과 전주시가 '주의단계'로 도내 시군에서 가장 양호했으며 7개 시·군은 소멸 위험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 시민단체인 '좋은정치시민넷'이 11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4년 말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전북 내 시군 '지방소멸위험지수'를 분석한 결과이다.
이에 따르면 전북 14개 시군 중 93%인 13개 시군이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됐고 익산시를 포함 6개 시군은 '소멸위험진입 단계'로, 임실군을 포함한 7개 군은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각각 나타났다.

전북 내 모든 시군은 전년에 비해 소멸위험지수가 악화되었으며 지수가 가장 많이 하락한 지역은 전주시였고 가장 낮게 하락한 지역은 순창군으로 파악됐다.
좋은정치시민넷은 "수도권 집중 현상과 일자리 부족에 따른 청년 인구의 탈출로 인해 지방소멸은 갈수록 심각한 수준"이라며 "정부가 지방기금법에 따른 지방소멸대응기금을 조성하여 2022년부터 국내 122개 자치단체에 매년1조 원을 지원하고 있지만 지방소멸지수는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좋은정치시민넷은 "수도권 진입장벽 강화, 지방 기업에 대한 세제혜택, 공공기관 이전, 수도권 대학 정원 축소 및 지방대학 활성화, 지방에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 지방소멸을 막기 위한 정부와 정치권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소멸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값이다. 소멸위험 분류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발표한 분석 방식을 활용하였으며, 지수가 낮을수록 지방 소멸에 대한 위험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