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윤석열 정부의 기후위기 대응 수준이 전세계 최하위권"이라며 "이제는 퀀텀점프가 필요할 때"라고 강조했다.
26일 경기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이날 여주 위성센터에서 '기후경제 대전환 3대 전략'을 발효하는 자리에서 이같이 지적했다.

김 지사는 "기후위기는 대한민국 경제의 위기"라고 진단하면서 "기후위기 대응에 실패하면 매년 성장률이 0.3%p씩 떨어지고 2100년에는 GDP가 21% 줄어들 것"이라는 한국은행의 분석보고서를 인용했다.
그러면서 작금의 상황을 '기후 내란'으로 표현하며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은 OECD 최하위, 기후위기대응 수준도 전 세계 최하위권인 윤석열 정부의 기후대응 역주행을 강력 비판했다.
그는 "지난 2년 연속 다보스포럼에 참석하면서 기술 진보와 기후위기에 대해 세계지도자들이 얼마나 머리를 맞대고 치열한 토론을 하고 있는지를 목도하고 직접 참여도 했다. 세계는 기후위기 대응을 경제와 산업의 뉴노멀로 삼고 치열한 고민과 실천경쟁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탄소국경조정세, RE100 등은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더 이상 뒤쳐져선 안된다. 이제는 기후경제로 대한민국 경제를 대전환해야할 때"라고 퀀텀점프가 필요한 이유를 설명했다.
퀀텀점프는 물리학에서 양자도약을 의미하는 용어로, 단기간에 비약적으로 실적 호전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김 지사는 '기후경제'를 "대한민국 경제의 새이름"이라고 규정하면서 △기후산업 400조원 이상 투자 △석탄발전소 전면 폐지 △기후경제부 신설 등 3대전략을 제시했다.
김 지사는 기후경제 대전환 3대전략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오늘 우리의 선택이 다음 세대의 미래를 결정할 것"이라고 피력했다.
또한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머뭇거릴 이유도 없다. 우리는 할 수 있다. 경기도가 그 증거"라며 "경기도의 길이 대한민국의 길이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날 행사가 열린 여주 위성센터는 국내 첫 달탐사선인 '다누리'와의 심우주 통신 및 관제를 맡고 있는 상징적인 장소다.
김 지사는 기후경제 대전환 3대전략 발표 후 한화시스템(우주산업기술기업), 루미르(한국최초 달 탐사선 개발 참여), 레인버드 지오(이화여대 교수와 학생들이 창업한 기후테크기업),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관계자 및 한국항공대학생 등과 기후경제 및 위성 등을 주제로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에선 기후위성과 관련해 "경기도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솔루션이 되어 많은 지자체에 적용될 것", "중앙정부가 하지 못하는 일을 경기도가 견인하고 있어 매우 존경스럽다", "(기후위성은)참 좋은 계획"이라는 말 등이 나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