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의회 정복순 의원(옥동)이 제255회 임시회 제5차 본회의에서 후계농·청년농 자금 지원 중단 사태와 관련한 현안을 공유하고, 안동시의 청년농업인 육성·지원 정책 개선을 촉구하는 시정질문에 나섰다.
정 의원은 2025년 후계농·청년농 자금 지원 중단 사태로 인해 안동시 청년·후계농업인 41명 중 단 4명만이 선정되고 37명이 탈락한 사태를 언급하며, 지역 국회의원실과 협력해 피해 복구에 나섰던 과정을 공유했다.
그는 "정부 정책 변화로 피해가 예상될 때, 시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여·야, 의회·집행부가 따로 없다"라며 지방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방정부는 단순히 정부 시책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주민들의 목소리를 중앙정부에 대변하는 역할도 해야 한다며, 정부 정책 변화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신속한 의회 협의를 통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최근 5년간 청년농 정착지원사업 수혜자의 정착률이 88.8%로 전국 평균(91.4%)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안동시 전체 청년농업인의 정착률이 75.4%에 불과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사전 교육, 상담, 컨설팅 및 사후 모니터링 등 중간 지원 강화를 통해 정책의 효과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또한, 40대 농업인의 이탈률이 33.43%를 넘어서는 현실을 언급하며, 청년농업인 지원 연령 기준을 상향 조정하는 등 실효성 있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안동은 도농복합도시로 청년농 육성에 유리한 입지를 가지고 있다”며 “농업은 단기간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쳐 농민으로 성장하는 과정이다. 안동시가 후계농·청년농 육성 정책을 더욱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