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소방본부가 3월부터 5월까지 봄철 화재예방을 위한 집중대책을 추진한다.
최근 5년간 대전지역에서 발생한 화재는 총 4467건이며 이로 인한 재산피해는 약 2340억 원에 달한다.
특히 봄철 화재는 1239건으로 전체 화재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했고 재산피해는 1882억 원(80.4%)로 봄철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명피해도 79명(사망 13명, 부상 66명)에 달했다.
화재발생 장소는 건축·구조물 749건(57.4%)으로 가장 많았고 이 중 단독·공동주택에서 발생한 비율이 30%로 가장 높았으며 야외 화재는 339건(27.4%)을 기록했다.
화재 원인으로는 부주의가 691건(55.8%)로 가장 많았고 전기적 요인 257건(20.7%)과 원인미상 149건(12.0%) 등이 뒤를 이었다.
이에 대전소방본부는 봄철 화재예방을 위해 다양한 안전대책을 강화하고 추진할 예정이다.
공사장 화재예방 강화를 위해 현장 행정지도를 실시해 건설현장 출동로 확인, 용접·용단 작업 시 화재감시자 배치, 공사장 관계자 대상 화재안전교육, 피난로 확보 등의 안전컨설팅을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노후아파트, 단독주택, 쪽방촌 등 주거취약시설을 대상으로 화재안전 지도 및 대피계획 수립 캠페인을 실시할 계획이다.
‘불 나면 살펴서 대피하기’라는 안전 메시지를 입주민 안내방송 등을 통해 전파하고 관리사무소 관계자를 대상으로 소방안전교육도 실시한다.
더불어 요양원·요양병원 등 피난 취약시설과 찜질방·사우나 등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는 소방 훈련과 피난 안내 교육을 진행해 초기 대응 능력을 높일 계획이다.
강대훈 대전소방본부장은 “봄철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면서 대형화재 및 산불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며 “담배꽁초 무단투기, 음식물 조리 중 부주의, 산림인접지역 내 쓰레기 소각금지 등 시민들의 각별한 주의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