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부천시가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 시행하고 있다.
5일 시는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초고령사회로의 진입 현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을 펼친다고 밝혔다.

앞서 시는 지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년간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으로 탄탄한 복지 인프라를 다져왔으며, 2023년부터는 ‘의료’를 더한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얻은 바 있다.
이번 ‘부천형 통합돌봄’의 핵심은 기존 복지서비스(13종)에 자체 개발한 서비스(15종)까지 총 28종의 사업을 대상자 맞춤 제공해 복지 틈새를 좁히고, 통합건강돌봄센터·재택의료센터를 통해 보건·의료를 통합 지원하는 것이다.
질병과 장애 등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부천지역 노인과 장애인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부천형 통합돌봄’은 대상자가 거주 중인 동 복지팀과 복지관·병원 등을 통해 서비스를 신청할 경우, 3개 구 스마트복지팀에서 사례 조사 및 계획을 수립한 뒤 시 돌봄지원과의 회의를 거쳐 대상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시는 기존 복지제도의 선별적 기준과 부족한 서비스량 및 단발적인 서비스 제공 등의 문제를 보완하고자 다양한 분야에서 15종의 자체 서비스를 개발했다.
가사·식사·청소·동행 등 일상생활 지원과 야간·주말 등 돌봄 공백을 메우는 틈새돌봄지원 및 개별 건강 상태에 맞춰 제공하는 식사영양관리 등 ‘생활 지원 분야’와 낙상·안전사고 예방 장치 설치 등을 지원하는 안전홈케어 및 주거가 필요한 노인에게 돌봄과 주택을 연계하는 케어안심주택 등 ‘주거·돌봄 안전망 분야’를 비롯해 통합건강돌봄센터와 연계한 방문 간호·운동·구강 관리와 의료기관 연계 방문 진료·간호 제공 등 ‘보건 의료 분야’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대상자가 어디서나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도록 68개 통합 안내 창구를 운영하는 등 효율적인 돌봄 연계 체계를 구축하고, 민간단체·공공기관·복지관·병원·재가센터 등 민·관 협력 시스템을 갖추고 돌봄을 확장한 점도 눈에 띈다.
이처럼 시는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6년간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 및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을 통해 8689명의 시민에게 2만6000여 건의 서비스를 제공했고, 이는 2022년 대한민국 지방자치경영대전 대통령상 수상과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연속 지역사회 통합돌봄 부문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수상하는 등 풍성한 수상실적으로 이어졌다.
시는 향후 의료·돌봄 사업의 대상과 인프라를 넓히고 시스템을 강화하는 등 부천형 의료돌봄 통합지원 체계를 더욱 공고히 할 방침이다.
의료 필요도가 높은 대상자에게 방문하는 의사 주치의제를 시행하고, 양방 협진이 가능한 의료 분야 다학제 팀을 구성하는 동시에 가까운 곳에서 건강을 관리하는 ‘온동네 건강돌봄학교’ 운영 및 장애·노화·질병·생애말기 등으로 대상을 포괄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신중년노후준비센터와 연계한 노후준비상담사와 복지관·의료진과 협력한 마을돌봄리더를 양성하는 등 돌봄 인프라 확대 및 의료돌봄 통합지원 사례관리를 전담으로 할 수 있는 구청 단위 의료돌봄센터 신설도 구상 중이다.
조용익 시장은 "수요자 개인의 상태와 욕구에 맞춘 부천형 지역사회 통합돌봄으로 생애 맞춤 돌봄도시를 실현하겠다"며 "지역사회 안에서 행복한 노후를 누릴 수 있도록 민·관 협력을 통해 돌봄서비스를 확대하고, 전문성과 체계성도 한층 굳건하게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