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익산시의 인구 10만명 당 자살은 2022년 19.9명에서 이듬해에 31.0명으로 껑충 뛰었다.
이는 전북 14개 시·군 평균(20.9명)은 물론이고 익산시와 주요 3대 도시를 형성해온 전주(17.1명)와 군산(23.4명) 등에 비해서도 훨씬 높은 수치이다.
단순 수치를 봐도 익산시의 자살 사망자는 2022년 74명에서 이듬해에 93명으로 한해에 19명이나 늘어나는 등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송영자 익산시의의원이 6일 '제268회 제1차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전주와 군산 등 인근 도시들의 자살률 감소 추이와 익산시의 자살률 증가 원인을 질타하며 대책 마련을 강하게 촉구해 관심을 끌었다.
송 의원에 따르면 전주시와 군산시 등은 2022년 대비 자살률이 감소한 데 반해 익산시는 되레 증가했다는 점에서 자살예방사업의 문제점이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익산시의 자살예방 사업을 보면 익산시보건소에서 자살예방 정신건강증진사업과 심리유치원, 인권존중 힐링프로그램 등 대부분 정신건강 치료에 집중되어 있다.
송영자 의원은 "이런 프로그램은 결국 자살의 원인을 개인의 정신 상태에 있다는 논리"라며 "이에 대한 시의 예산지원이 부족한 까닭에 같은 사업만 되풀이하는 게 아닐까 하는 안타까움을 낳고 있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한 마디로 익산시보건소가 자살예방과 관련해 엉뚱한 다리만 긁고 있다는 지적인 셈이다.
정부는 제5차 자살예방기본계획(2023~2027년)을 마련해 대응하고 있지만 자살 증가세를 꺾지 못하고 있고 자살 시도자와 자살 사망자의 유족 등 고위험군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을 벌이고 있다.
익산시도 여기에 발맞춰 자살 예방 사업을 정신건강 사업으로만 치부하지 말고 전체 시민이 살아가기 위한 지원 대책으로 설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송영자 시의원은 "자살 예방 사업은 단순히 보건 과제가 아니라 익산시의 모든 정책이 궁극적으로 안정적인 삶을 지원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며 "익산시의 자살률을 심각한 지역사회의 문제임을 인식하고 공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익산의 한 곳에서 최근 자살 사망자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지만 관할 구역이 애매하다는 이유로 자살 방지 대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송영자 의원은 관할 구역을 명확히하고 자살 수단 접근을 제한한 키 높이의 난간 펜스 설치와 난간 윗부분의 롤러 설치 등 사람들이 자살을 시도하기 어렵게 만들어 골든타임 내 구조하는 방법 등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는 이미 서울의 마포대교나 다른 지역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국제적으로도 자살 예방에 효과적인 전략 중 하나라고도 꼽히고 있다는 지적이다.
송영자 시의원은 "미국 하버드대와 UC버클리의 연구에 따르면 자살 시도로부터 생존한 사람 대부분은 다시 자살을 시도하지 않는다고 한다"며 "자살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접근을 막는 것 자체로 죽음을 예방할 수 있음을 뜻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 의원은 또 "보건소 전담이 아니라 익산시장이 주재하는 '자살 예방 전략회의'를 권고한다"며 "익산시 차원의 실효성 있는 자살 예방 사업을 통해 사회적 타살이 멈춰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