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익산시 낭산면의 폐석산 폐기물 이적 처리가 7년 째 접어들지만 전체의 30%도 아직 처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와중에 신규 침출수는 매일 40t 이상 추가로 발생하고 있어 이래저래 복구 처리비용만 눈덩이를 이룰 우려를 낳고 있다.
10일 익산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익산시 낭산면의 폐석산에 복토제로 활용이 금지된 지정폐기물 등을 불법 매립한 업체와 재활용 업체를 지난 2016년에 적발하고 폐기물을 이적 처리한 결과 2019년부터 작년까지 처리한 물량은 총 39만7800t으로 집계됐다.

이는 처리해야 할 전체 매립량 143만의 약 27%에 불과한 수준이다.
침출수도 매년 적게는 3만8000t에서 최대 6만t 이상 처리하는 등 같은 기간 중에 30만t 가량 처리했지만 매일 40~50t 가량이 추가로 발생하는 등 향후 처리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특히 복구협의체에서 사후관리 이행계획을 제출했지만 탈퇴 업체 발생과 분담금 납부에 업체들 사이의 이견이 노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폐기물 처리의 재원 조달 마련에 어려움이 우려된다.
현재 익산시가 업체들을 대신해 폐기물 처리를 위해 대집행한 금액은 39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관련업체에 부과한 금액은 180억원에 달하지만 실제 업체들이 납부한 금액은 60억원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익산시는 이와 관련해 올해부터 납부하는 세외수익금(대집행비용)을 2026년 본예산에 기금으로 편성하기 위해 '폐석산 사후관리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안'을 의회에 제출해 놓은 상태이다.
익산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는 10일 '제268회 익산시의회 임시회' 회기 중에 낭산 폐석산 폐기물 처리 현장을 방문해 점검하고 개선점에 대하여 논의했다.
낭산 폐석산 폐기물 처리현장에서는 관련 부서와 불법 반입폐기물 처리 및 침출수 관리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 폐석산 사후관리기금 운용 계획에 대한 보고를 받았으며 현장을 점검했다.

보건복지위원들은 이날 "침출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연직차수벽 설치를 신속하게 추진해야 할 것"이라며 "국도비 보조금 확보 및 대집행비용을 적극 징수하여 예산확보를 통해 침출수 발생 억제 및 유출방지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최재현 보건복지위원장은 "폐석산 침출수 관리가 완벽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의회차원에서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