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전남 건설노동자들이 단체협약 준수와 임금 체불 해결을 촉구하며 총파업을 선언했다.
민주노총 전국건설노동조합 광주전남건설지부는 11일 광주광역시청 앞에서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권 아래 노동자들의 권리가 유린당했다"며 "사생결단 투쟁을 통해 빼앗긴 권리를 되찾겠다"고 밝혔다.
건설노조에 따르면, 광주 지역 건설 현장에서 10여 년간 유지되어 온 단체협약이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사실상 무력화됐다. 노조는 단체협약 불이행으로 인해 광주 지역 조합원들이 받지 못한 법정공휴일 유급 수당, 연차수당 등 체불 임금만 146억 원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건설사들이 경기 침체를 이유로 임금 삭감을 시도하고 있으며, 최저가 낙찰제와 불법 재하청 구조로 노동자들의 생계를 더욱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준성 건설노조 광주지부장은 "대기업과 하도급업체들이 모두 경영난을 이유로 노동자들에게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며 "자재비와 인건비가 오른다고 하지만, 정작 노동자들에게 돌아오는 몫은 줄어들었다. 누구의 배만 불리고 있는 것인지 묻고 싶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임금 삭감이 노조원뿐만 아니라 비조합원 노동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건설사들이 진정성 있는 협상에 나선다면 고통 분담도 가능하지만, 지금처럼 일방적인 임금 삭감을 강요하는 상황에서는 제대로 된 협상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광주 첨단지구 건설 현장에서 형틀목수로 일하는 이승철 씨는 "지난해 12월에 일한 임금을 3월이 되어서야 받았다"며 "하루 벌어 하루 먹고 사는 건설노동자가 몇 달씩 밀린 임금으로 버티는 건 불가능하다. 결국 빚을 내서 생활비를 충당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그는 "불경기로 건설현장 자체가 줄고 기본 임금도 삭감돼 500만 원을 벌던 사람이 이제는 250만 원도 벌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매달 빠듯하게 유지하던 가계가 무너지면서 학원비, 보험료, 적금도 다 해지해야 했다. 설에는 부모님 용돈을 챙겨드릴 여력조차 없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건설노조 관계자는 "극단적 투쟁에 앞서 협상에 나서겠지만 3월 21일을 기점으로, 건설사들이 저단가 구조와 고강도 노동을 강요하는 책임을 반드시 물을 것"이라며 "이번 파업은 광주에서 시작되지만, 전국적인 연대 투쟁으로 번질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