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의 예산을 들여 강원도 속초로 역량강화 연찬을 가려던 전북자치도 익산시의회가 적절성 논란에 일단 행사를 연기했지만 타시·도 '원정 연찬' 계획에 대한 해명은 여전히 구설에 오르내리고 있다.
익산시의회는 그동안 이달 17일부터 19일까지 강원도 속초의 한 호텔에 숙박하며 2박3일간 의정역량 강화 연찬계획을 추진해 왔다.
연찬회 비용은 본예산에 잡혀있는 '민간위탁 교육 비용' 2000만원을 사용한다는 방침 아래 시의회 사무국 차원에서 위탁업체와 구두상 계약을 요청해 놓았다.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 구속 석방에 따른 정치·사회적 혼란 가중과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결과 지연 등으로 정국이 어수선해 일정을 당분간 뒤로 미룬 것으로 파악됐다.
김경진 시의회 의장은 "여러 상황을 고려해 연찬회 일정을 잠정적으로 연기했다"고 확인해줬다.
연찬회 연기로 논란은 수그러들었지만 익산시의회는 제주도나 강원도 속초 등 그간의 원거리 출장 연찬에 대해서는 이상한 논리로 당위성을 강변해 주변을 어리둥절하게 하고 있다.
김경진 의장은 "연찬회를 맡긴 위탁기관이 속초로 선정해서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고 시의회 사무국도 "위탁기관이 장소까지 선정해 연찬회 계획을 제시했고 시의회는 단순히 수락한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굳이 타시·도 연찬을 고집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전북에서 하면 공식일정 이후에 몇몇 의원들이 이탈할 수 있는데 타시·도에서 하면 그렇지 않다"고 말해 논란을 키웠다.
선출직 공직자의 연수를 잘 아는 관계자들은 "위탁기관이 원거리 연찬장소를 결정했다는 것은 '눈 가리고 아웅'하는 격"이라며 "2000만원짜리 연찬 용역을 맡는 위탁업체가 어떻게 마음대로 장소를 결정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하고 있다.
지역의 시민·사회단체는 "지역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어려움이 극에 달해 '사는 게 지옥 같다'는 푸념이 끊이지 않는다"며 "위탁기관이 타시·도 연찬장소를 추천한다 해도 의회가 전북권 추진을 고집하는 게 당연한 것 아니냐"고 묻고 있다.
이창엽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사무처장은 "지방의회가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연찬회를 가는 것이야 뭐라 하겠느냐"며 "다만 제주도나 속초 등 전북 이외의 지역까지 원정 가서 연찬회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선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창업 사무처장은 "통상 연찬회를 가면 2박3일 동안 꼬박 교육을 받는 것은 아닐 것이라고 시민들은 생각한다"며 "지방의회가 지역민들에 보여주기 싫은 모습이 있어 타 지역으로 원장 연찬을 가는 것은 아닌지 의혹을 제기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앞서 익산시의회는 지난해의 경우 제주도에서 연찬회를 개최했고, 올해는 강원도 속초로 가려다 비상시국 등을 감안해 이날 잠정 연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