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 남구의회 기획총무위원회가 13일 '남구 시설관리공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안'을 통과시켰다. 조례가 본회의까지 가결되면 남구는 시설관리공단 출범을 위한 본격적인 절차를 추진할 방침이다.
13일 남구의회 등에 따르면 이번 조례안은 체육·환경·문화·교통 등 5개 부문에서 7개 사업을 담당할 공단 설립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공단은 △경영지원팀 △공공시설팀 △체육시설팀 등 3개 팀 체제로 이사장 1명·일반직 16명·공무직 42명 등 총 59명의 정원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구청사 시설 관리, 구내 체육관 운영·관리 등 다양한 공공시설 업무를 맡게 된다.
남구청은 2018년부터 시설관리공단 설립을 추진했으나, 당시 타당성 부족을 이유로 논의가 번번이 무산됐다. 이후 2022년 타당성 검토 용역, 2023년 주민 공청회, 지난해 설립심의위원회 등 거듭된 절차를 밟았다. 재정 부담을 우려한 구의회의 반대로 지난달 한 차례 안건 상정이 보류된 바 있다.
그러나 이날 기획총무위원회의 거수투표를 통해 조례안이 통과됐다.
한 남구의원은 "남구의 각종 공공시설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려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공단이 필요하다"며 "재정이 열악한 건 사실이나 다른 자치구도 단계적으로 시설관리공단을 도입하고 있는 만큼, 남구도 설립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모든 조건을 완벽하게 갖춘 뒤 추진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운영하면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나가는 것이 현실적인 방향"이라고 덧붙였다.
해당 조례안은 오는 17일 남구의회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여전히 공단 운영에 따른 재정 부담과 인사 문제에 대한 우려는 남아 있다.
황경아 남구의원은 전날 열린 제310회 임시회 5분 발언을 통해 "남구의 재정자립도가 14.7%로 전국 최하위 수준이고 청사 리모델링 사업 위탁개발비 상환액이 약 360억 원에 달한다"며 "업무 위탁이 예산절감 방안이라고 하지만, 막대한 예산이 투입돼 재정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우려를 표명한 바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