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집중 호우기에 물난리를 반복하는 전북자치도 익산시 산북천 일대의 침수 피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총 2200억원의 국비 투입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민들은 행정안전부 차원의 강력한 지원 의지와 함께 지역구(익산을) 의원이자 국회 행안위 소속인 '한병도 의원 역할론'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익산시는 산북천 유역의 반복적인 홍수 피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대규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익산시는 2023년(하류부)과 지난해(상류부) 연이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산북천 일대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해 오는 2029년까지 총사업비 2175억 원을 투입하는 '산북천 일대 침수 예방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단계별로 사업을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우선 현재 실시설계 용역이 진행 중인 '대조지구 재해예방 사업(548억원)'은 올해 국비가 확정돼 오는 11월 공사 발주를 앞두고 있다.
'연동지구 재해예방사업(550억원)'은 펌프장 1개소를 신설하는 내용인데 최근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로 지정된 만큼 올해 예산을 확보해 실시설계 용역에 나설 계획이다.
한국농어촌공사도 연동 제수문 수리시설을 다시 설치하기 위해 기본설계를 진행하고 있다. 주민 숙원인 '난포교 재가설' 사업도 진행 중인데 국민권익위원회의 조정에 따라 금강유역환경청을 비롯한 여러 기관이 협력해 추진할 계획이다.

산북천 수해에 대한 개선복구 사업에는 올해 총사업비 335억 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현재 실시설계 용역 단계에 있으며 오는 5월 착공 후 내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익산시는 산북천 유역의 홍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올해부터 2029년까지 5개년 동안 단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익산시의 계획대로 추진한다 해도 해마다 물난리를 겪는 산북천 일대 주민들은 "앞으로 5년 동안 물바다 두려움에 떨며 살아야 할 판"이라고 하소연하고 있다.
익산시는 연차적 투자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지만 국가하천 개량 사업은 전액 국비로 지원하고 있어 행안부의 투자 우선순위에서 밀릴 경우 적기에 사업 추진을 장담할 수 없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지역민들은 "지난해 행안부 장관까지 현장을 방문해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한 바 있다"며 "한 두 사업을 '따로국밥'식으로 추진할 것이 아니라 산북천 일대 사업을 '통으로' 해야 하는 만큼 전북 정치권이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올해 산북천 일대 침수 예방과 관련한 국비 투자 규모는 개선복구비 350억원을 포함한 총 400억원에 만족하고 있다. 매년 평균 400억원의 국비 확보가 계속될 경우 최종 완공(2175억원)까지 최소 6년이 걸릴 것이라는 산술적 계산이다.
익산시는 "행안부도 산북천 유역 침수 예방을 위해 '찔끔투자'가 아니라 한번에 집중하는 게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선 공감하는 것으로 안다"며 "중앙부처를 잘 설득해 2029년 완공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국비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산북천 일대의 60대 주민 K씨는 "집중 호우기가 다가오면 이슬비만 내려도 물바다 걱정에 심장병이 도질 것 같다며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행안부의 집중투자 의지와 국회 행안위 소속의 한병도 의원이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2년 동안 물난리 날 때마다 한병도 의원은 국회 행안위 의원을 대동해 사태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등 사력을 다해온 만큼 익산시의 5개년 종합계획이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도록 신경을 써야 할 것이란 주문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