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침체에 탄핵국면까지 겹치며 공공기관을 비롯한 각급 기관과 기업들의 소비가 급격히 둔화하며 전북 기업들의 돈줄이 마르는 이른바 '돈맥경화' 현상이 심각해지며 급기야 올 1월중 어음부도율이 1.4%까지 치솟았다.
25일 한국은행 전북본부와 익산지역 시민단체인 좋은정치시민넷에 따르면 올 1월중 전북자치도의 어음부도율은 1.43%를 기록해 전국 평균(0.06%)보다 24배 가까이 높았다.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 어음부도율이 1%대를 기록한 것은 강원(1.11%)과 함께 전북이 유일했으며 전년 동기(0.29%)에 비해서도 3배 이상 껑충 뛰었다.

어음부도율이 치솟은 것은 장기간의 경기 침체로 소비가 급격히 둔화하며 가계와 기업들의 유동성을 떨어뜨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전북지역의 '소비자심리지수' 추이를 분석한 결과 작년 12월 이후 올 1월까지 84~85를 기록하는 등 소비마인드가 냉각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심리지수'는 2003년부터 2024년 중에 장기 평균치를 기준값 100으로 해서 계산한 수치이다. 100보다 훨씬 낮은 80대 중반으로 뚝 떨어진 것은 지난 20년의 평균 소비심리보다 그만큼 더 비관적이라는 의미이다.
경기 부진에 따른 기업들의 자금난이 심화하며 은행에 돈을 제때 갚지 못한 연체율도 치솟았다.
전북지역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지난 2023년 12월중에 0.49%에 불과했지만 작년 같은 기간에는 0.56%로 상향조정됐다.
전북의 가계대출 연체율도 작년 12월중에 0.65%를 기록하는 등 전국에서 제주에 이어 두 번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정치시민넷은 "전북의 올 1월중 어음부도율이 전국에서 1위를 할 정도로 높은 것은 그만큼 가계와 기업환경이 다른 시·도에 비해 어려운 상황에 있음을 보여준다"며 "어음부도율 1.43%는 비정상적인 수준이며 기업의 자금사정이 악화되고 경제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짐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지역경제 전문가들은 "경제규모가 작고 허약 체질일수록 외부의 충격과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며 "약체의 전북경제가 탄핵국면의 위기에 더 많은 충격을 받을 수 있는 만큼 전북도와 지자체, 정치권 차원에서 지역경제 활력 회복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