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는 민생경제 안정과 지역경제 활력 회복, 그리고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기반 마련을 위해 ‘2025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10조 9801억원 규모로 편성해 15일 도의회에 제출했다. 이는 본예산 대비 2522억원(2.4%) 증가한 수치다.
이번 추경은 글로벌 경제 악화와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서 민생경제와 도민 안전을 지키는 데 집중했다. 전북도는 트럼프발 관세정책과 경기 회복세 둔화, 국세수입 부진 등으로 지방 재정 여건이 악화되는 상황을 고려해, 추경 시점을 당초 계획보다 앞당겨 4월에 편성했다.
세수 부족 우려 속에서도 전북도는 지방채 발행 없이 순세계잉여금, 세외수입, 예비비 등 가용재원을 적극 활용하고, 세출 구조조정을 통해 재정 건전성 유지에 주력했다.
이번 추경예산은 △민생회복 및 지역경제 활력 △도민 안전 강화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대응 등 세 가지 주요 목표에 맞춰 편성됐다.
일자리 창출을 위해 창업기업 지원 펀드를 232억원까지 확대하고, 연내 269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익산 스타트업 라운지를 신설,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기업 유치를 촉진하기 위해 투자보조금 예산을 457억원으로 늘리고, ‘익산형 일자리’ 참여 기업을 대상으로 맞춤형 고용지원을 강화한다.
소상공인 지원도 대폭 강화됐다.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규모를 1.3조원으로 확대하고, 소상공인 노란우산 가입 장려금을 2배 인상했다.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안전관리 패키지와 특성화시장 육성사업도 신규·확대 편성됐다. 또한 전북 대표 온라인몰 ‘생생장터’ 운영을 확대하고, ‘녹색구매지원센터’를 신규 설치해 중소업체 제품 판로 확보를 적극 지원한다.
전북도는 수출 새싹기업과 지역산업 혁신제품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지원 예산을 확대하고, 미래차, 특장차, 항공산업, 수소산업 등 전북의 주력 신산업에 대한 기술개발과 에너지 생태계 구축에도 신규 예산을 배치했다. 농생명·바이오 산업 분야에서는 AI 기반 농기계 자율제조 기술개발을 비롯한 첨단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농업의 스마트화를 도모한다.
또한 지방도 확포장, 하천 정비, 농어촌 생활용수 개발 등 지역 기반 인프라 확충에도 179억원을 추가 편성해 건설경기 활성화와 안전망 강화를 동시에 추진한다.
전북도는 지난 2월 전주가 2036 하계올림픽 국내 후보도시로 단독 선정된 이후, 유치 공감대 확산과 국제 실사 대응, 연대도시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관련 예산도 이번 추경에 반영했다. 올림픽 유치와 연계한 문화·관광 분야 투자도 확대된다. 도립·군립공원의 친환경 산악관광지 조성, 생태관광지 육성,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사업 등 관광기반 고도화 사업이 신규 반영됐으며, 시청자미디어센터·문학예술인회관·공공도서관 등 문화 인프라 확충 예산도 대폭 증액됐다.
최병관 전북자치도 행정부지사는 “2025년 제1회 추경예산안을 제출하며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민생과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핵심 예산을 중점적으로 편성했다”며 “도의회에서도 추경예산안이 원안대로 통과돼 신속하게 민생에 전달될 수 있도록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번 추경예산안은 4월 15일 전북도의회에 제출됐으며,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제418회 임시회는 4월 23일부터 시작돼 각 상임위별 심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