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강진군은 '반값여행'이라는 획기적인 정책으로 2년 만에 관광객 40만 명 증가의 성과를 일궈냈다.
관광객이 숙박과 음식, 체험 등에 사용한 돈의 절반을 지역화폐로 환급해주는 강진군의 정책은 단순한 할인 정책이 아니라 지역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한 소비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낸 사례로 손꼽힌다. 그래서 '반값여행'은 단기 이벤트가 아닌 지속 가능한 지역경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천혜의 자연을 자랑하는 전북자치도 장수군에도 '반값 여행'을 도입해 볼만 하다는 지적이 의회에서 나왔다.

김광훈 장수군의원은 16일 열린 '제374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장수군 체류형 생활인구 유입을 위한 지속 가능한 정책 전환'을 강하게 촉구하고 나섰다.
이에 따르면 장수군은 천혜의 자연환경과 유서 깊은 역사문화, 청정 농특산물을 바탕으로 관광 활성화와 지역경제 회복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여전히 관광은 1회성 방문에 머물고 체류와 정착은 엄두도 못 내고 있다.
김광훈 군의원은 이와 관련해 "관광객이 장수군 안에서 숙박, 음식, 체험 등에 사용한 비용의 일부를 장수사랑상품권으로 돌려주고 이를 지역 내 소상공인 중심의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실질적인 지역 소비 확대를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통해 관광과 지역경제를 선순환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는 논리이다.
그는 또 '한 달 살기'와 '계절 살기', '가족형 슬로우투어', '농촌 유학', '아트살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시의 은퇴자, 청년, 도시 가족, 문화·예술·체육인 등이 장수에 일정 기간 머물며 지역을 체험하고 정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획기적인 체류형 콘텐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김광훈 군의원은 "주민 참여형 관광모델 구축도 시급하다"며 "더 많은 장수 군민들이 해설사와 체험 교사, 지역 가이드로 직접 참여하고 수익을 공유하는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체계적인 관광 인력 교육·인증 제도가 함께 마련돼야 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김광훈 군의원은 "생활인구 정책을 위한 부서 간 통합계획과 민관 협력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며 "지금처럼 관광, 농업, 문화, 교육이 따로 움직이는 구조로는 실효성 있는 생활인구 정책을 추진하기 어려운 만큼 각 부서를 아우르고 마을, 단체, 기업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통합 거버넌스와 종합계획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