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전국 유일하게 결혼과 출산 지표가 모두 반등하며 청년들이 살고 싶은 도시로서의 위상을 입증했다.
통계청의 2024년 인구동향 자료에 따르면 대전은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를 나타내는 조혼인율에서 전국 17개 시도 중 1위를 차지했다.
대전의 조혼인율은 5.6건으로 전국 평균 3.7건을 크게 웃돌며 서울과 세종을 제친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히 일시적인 상승으로 보기 어려운 대전의 청년정책 성과는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이 기반이 됐다.
수도권보다 잘 사는 지방도시를 꿈꾸는 대전시는 하니(HONEY) 대전 프로젝트를 통해 청년의 일자리, 주거, 결혼, 출산, 복지를 연계한 통합적 정책들을 연속성 있게 추진하고 있다.
핵심 정책인 결혼장려금 제도는 전국 최초로 도입돼 만 19~39세 신혼부부에게 1인당 250만 원을 지원한다.
시행 초기인 지난해 12월부터 현재까지 총 1만 2346명에게 약 309억 원이 지원됐다. 이 제도는 결혼 장벽 중 하나인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하며 청년층의 호응을 얻고 있다.
이와 함께 청년주택 신혼부부 우선 분양 확대,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 민간 청년주택 공급 확대 등 주거 안정 정책이 병행되며 체감도를 높였다.
여기에 연(連) in 대전, 썸타자 시그널데이와 같은 미혼남녀 만남 프로그램은 결혼 친화 분위기 조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대전시는 산업 분야에서도 청년들의 정착을 뒷받침할 기반을 다지고 있다.
최근 1조 600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와 함께 세계적인 기업 머크를 비롯한 SK온, LIG넥스원, 코리아휠 등 63개 국내외 기업이 대전으로 이전하거나 신설되었다. 이로 인해 첨단 분야의 일자리가 늘며 청년들의 선택지를 넓히고 있다.
2024년 기준 대전의 상장기업 수는 65개로 6대 광역시 중 세 번째다. 특히 알테오젠(코스닥 시총 1위), 레인보우로보틱스, 펩트론 등은 대전의 바이오·로봇 산업 경쟁력을 상징한다.
대전시 관계자는 “정책의 일회성 지원을 넘어 청년들이 대전에서 정착하고 살아가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을 만들고 있다”며 “결혼과 출산, 주거와 일자리까지 연결되는 체계적인 청년정책이 대전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견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