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인 이재명, 김경수, 김동연 후보는 19일 충북 청주에서 열린 첫 지역 경선 합동 연설회에서 충청권의 표심을 겨냥했다. 세 후보는 국회와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시 이전을 공약으로 내세우며, 세종시를 행정수도로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충청권의 표심을 의식한 발언으로, 지역 균형발전 논의에서 세종시가 중심이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재명 후보는 세종시를 "행정수도로 완성하겠다"고 선언하며,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건립하고, 2차 공공기관을 이전하는 계획을 제시했다. 그는 이를 통해 세종시를 정치·행정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경수 후보는 "새 정부는 행정수도 완성의 시대를 열어야 한다"며, 가장 빠른 시일 내에 세종시를 행정수도로 확정짓겠다고 밝혔다. 김동연 후보도 대통령 당선 즉시 세종으로 대통령실을 옮기겠다는 구상을 내놓으며, 국회와 대법원, 대검찰청까지 세종으로 옮기겠다고 강조했다.
세 후보 모두 세종시를 행정수도의 중심으로 확립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며, 세종시를 중심으로 한 균형발전 구상은 충청권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적 방향이 전북을 포함한 비수도권 지역에 미칠 영향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전북은 세종과 물리적으로 인접해 있지만 세종 중심의 행정수도 완성이 가시화될 경우, 행정적·정치적 권력이 충청권으로 집중될 가능성이 크다. 수도권과 세종을 잇는 정치·행정 네트워크가 강화되면, 전북을 비롯한 인근 지역은 정책 결정 과정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전북은 새만금 개발, 국가식품클러스터, 광역교통망 확충 등 다양한 국책사업을 통해 균형발전 정책의 주요 거점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세종시가 정치·행정의 중심으로 자리 잡을 경우, 전북의 전략적 위치는 상대적으로 약화될 수 있다. 행정기관 이전과 예산 배분 과정에서 세종과 충청권 중심의 구조가 고착화되면, 전북은 정책적 변두리에 놓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역 정치인들은 "행정수도 완성으로 수도권과 세종, 충청권 중심의 새로운 권력 구조가 형성되면, 전북을 포함한 다른 지역은 정책 결정 과정에서 영향력이 줄어들 수 있다"고 우려하며 "전북도 이에 대응한 균형발전 전략을 새로 설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민주당 경선에서 세 후보가 모두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공약을 내세운 것은 균형발전 정책의 중심이 충청권으로 쏠리고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 이들 공약이 국가적 차원의 균형발전 구상으로 어떻게 구체화될지, 그리고 전북은 이에 어떻게 대응할지가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