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익산시 자전거도로의 16%가량은 도저히 자전거를 탈 수 없을 정도로 비좁거나 페인 엉터리 도로이지만 관련 보수 예산은 되레 거꾸고 가고 있다.
정영미 익산시의원(삼기·영등2·삼성)은 23일 '제269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익산시 자전거도로의 엉터리 현주소를 살펴보고 전반적인 재구조화를 촉구했다.
이에 따르면 익산시의 '자전거도로'는 도심권 대부분이 인도에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의 형태로 조성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보도와 자전거도로가 분리되어 있지 않고 혼합으로 이용하는 비분리 형태로 조성되어 있지만 이 경우 사람의 통행이 먼저이기 때문에 자전거가 제대로 지나다닐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현행 '자전거 이용시설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제5조에 따르면 자전거도로의 폭은 하나의 차로를 기준으로 1.5m 이상, 지역 상황 등에 따라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1.2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하지만 익산시 자전거도로 124개 노선의 15.7%인 20개 노선에 약 20km의 도로 폭이 1.2m가 되지 않게 조성되어 있고 심지어 폭이 0.5m인 곳도 존재한다.
A지역의 경우 상가 바로 앞에 자전거도로가 조성되어 있는가 하면 B지역은 버스정류장과 전신주·가로수 등이 자전거도로와 공존하고 있어 자전거의 통행이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이다.
또 자전거도로의 패임이나 포트홀, 노면 굴곡 등 보수가 필요한 지역도 많은 실정이다.
자전거도로의 안전을 위해 폭을 확보하고 전신주·가로수 등과 공존하는 구간은 폭을 더 넓게 조성해야 하는 등 재구조화가 시급하지만 관련 개·보수 예산은 2021년 12억4000만원을 정점으로 해마다 줄어 올해 본예산은 3억7200만원으로 쪼그라 들었다.

전체 자전거도로의 17%가량은 허울만 좋은 '자전거도로'인 데다 관련 개·보수 예산마저 거꾸로 가고 있는 셈이다.
정영미 시의원은 "자전거도로에 대한 예산을 대폭 늘려 자전거도로의 재구조화를 시행해야 한다"며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 자전거도로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영미 시의원은 "파손된 부분만 응급 복구할 뿐 재구조화를 하기엔 지금의 예산으로 턱없이 부족하다"며 "자전거도로 관련 예산을 증액 편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