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특례시는 사업비 159억 원을 투입해 지난해 극한호우 피해 하천 53개소와 주기적으로 피해가 발생하는 광려천과 월계소하천 일대를 대상으로 재해예방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또한 수생태계 회복을 위해 양곡천, 산호천 상류, 사파소하천 등 3개 하천을 중심으로 사업비 328억 원을 들여 생태하천 복원 사업도 진행 중이다.
재해예방 - 55개 하천 정비
지난해 9월, 창원시에 사상 첫 극한호우가 발령, 하천 53개소에 피해가 발생했다.
시는 피해 입은 하천을 대상으로 즉각 정비에 나서, 현재 33개소를 완료하고 22개소는 정비에 속도를 내는 등 우수기 이상기후를 대비하고 있다.
의창‧성산권역에서는 사업비 9억 원을 투입해 지개천, 감계천을 비롯한 8개 하천에 석축·전석쌓기 등 복구를 완료하고 현재 4개 구간에 대해 공사가 진행 중이다.
마산합포‧회원권역의 경우 약 13억 원을 투입해 안곡천과 회원천 등 16개소에 대해 제방과 호안정비 등 복구 공사를 완료했고, 6개 구간에 대해서는 올 6월 준공을 목표로 막바지 공사를 하고 있다.
진해권역에는 약 24억 원을 투입해 중초천 등 소하천 9개소에 대해 석축 쌓기, 하상 복구, 옹벽 설치 등을 완료했고, 8개 구간에 대해서는 현재 복구 중이다.
진해 도심을 가로지르는 신이천의 경우 사업비 15억 원을 투입해 올해 연말까지 전석 깔기, 돌붙임 등 대대적인 복구에 나서고, 특히, 웅동1동에 있는 소사천‧대장천의 경우 지난해 극한호우 때 제방 1.1km가 유실되는 등 피해 규모가 커, 국비 포함 98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근원적인 기능복구와 개선에 나설 예정이다.

이 밖에 집중호우 시 빈번히 범람하는 광려천, 월계소하천 일대도 대대적인 정비사업이 진행 중이다. 먼저, ‘내서읍 광려천 하천정비사업’은 사업비 7억 원을 투입해 하천 바닥 803m와 호안 290m를 정비하는 사업으로 올해 4월 말 준공을 앞두고 있다.
북면 월계리에서 시행 중인 ‘월계소하천 정비사업’은 제방 및 하천 바닥 250m를 정비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1월 시행계획 수립을 시작, 올해 6월 준공 예정이다.
생태복원 - 3개 하천 수생태계 회복
시는 수생태계 회복을 위해 지난해 완료된 양곡천에 이어 산호천 상류 사파소하천을 중심으로 생태하천 복원 사업도 추진 중이다. 지난해 사업을 끝낸 ‘1.8km 양곡천 복원사업’은 총사업비 약 70억 원을 투입해 콘크리트로 되어있던 하천 바닥을 걷어 내 암반층을 살리고, 에코블록을 설치해 식생 공간을 확보, 수생생물이 생존하기에 적합한 환경으로 바꾸었다.
또한 하천 범람을 예방하기 위해 양곡초부터 웅남동행정복지센터까지 300m구간에 대해 홍수 방어벽도 설치했다. 마산회원구 합성교에서 합성동에 이르는 ‘산호천 상류부 복원 사업’은 총사업비 212억 원이 투입된다.
해당 구간은 산호천 수질개선과 생태체험 공간조성을 위해 실시되는 사업으로, 하도정비, 생태서식처‧낙차공 조성, 호안 정비 등을 통해 2027년 연말까지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예정이다.
사파동 법원사거리에서 토월천 합류점에 이르는 ‘사파소하천’ 또한 2027년까지 생태하천으로 복원할 계획이다. 총사업이 45억 원을 투입해 하도정비, 생태서식처 조성, 벽면 녹화 작업 등 도시와 시민, 그리고 생물이 어울려 살 수 있는 도심 생태하천으로 전환을 준비 중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