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 문제는 곧 산업의 문제이자, 대한민국 생존의 문제입니다.”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나선 이재명 후보가 24일 전북 김제를 찾아 재생에너지 산업 전환의 시급성을 거듭 강조했다.
이 후보는 “탄소국경조정세(CBAM)의 도입이 가시화된 상황에서 화석연료에 기반한 제품은 국제 경쟁력을 잃을 수밖에 없다”고 경고하며, “잃어버린 3년을 반드시 보상하고, 더욱 빠른 속도로 재생에너지 사회로 진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김제 새만금33센터에서 열린 ‘재생에너지 현장 간담회’에 참석한 이 후보는 “대한민국은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라며 “탄소국경조정세는 미국의 관세보다 더 큰 타격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을 채택한 글로벌 공급망에서, 재생에너지로 생산되지 않은 제품은 외면받고 있다”며 “현재 한국의 재생에너지 비중은 10%도 되지 않아, 자칫하면 ‘국제적 고립’ 상태에 놓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농촌과 해안의 유휴 공간, 그리고 무한한 자연에너지를 활용하면 양질의 일자리가 생기고, 지방도 살아날 수 있다”며 “에너지 전환은 기후 대응을 넘어 지역 균형발전의 열쇠”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서해안에 ‘에너지 고속도로’를 구축하고, RE100 산업단지를 조성해 산업과 에너지 소비의 지역 불균형을 해소하겠다”는 구상도 제시했다.
원자력 발전에 대해서는 “전력의 안정적 공급은 필요하지만, 원전의 위험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며 “일방적 선택보다는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이 필요하다”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AI 기반 첨단 기술 산업이 확산될수록 전력 수요는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원전 정책의 균형 잡힌 접근을 강조했다.

이 후보는 현 정부의 에너지 정책도 정면 비판했다. “검찰 중심의 국정 운영으로 인해 태양광 산업 전체가 비리의 온상처럼 몰리며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며 “입찰 제도의 일부 문제가 있다고 해서 관련 입찰을 전면 중단한 결과, 국내 기업들이 타격을 입고 해외 기업들이 철수하는 일까지 벌어졌다”고 비판했다. 그는 “허비된 3년이지만 지금부터라도 속도를 내야 한다”며 “검찰의 시각이 아닌 산업과 미래를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북에 대한 인식도 덧붙였다. 이 후보는 “호남이 소외되었다는 정서는 오랜 이야기지만, 그중에서도 전북은 ‘삼중의 소외’를 겪고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균형발전의 중심축으로 전북을 더욱 두텁게 챙기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