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가 2025년도 정부 추가경정예산(추경) 심의에 맞서 전방위 총력전에 나섰다. 김관영 도지사는 직접 국회를 찾아 여야 예산라인을 두루 접촉하며 전북 핵심사업에 대한 국비 반영을 요청하고 있다.
전북도는 24일, 김 지사가 국회를 잇따라 찾아 전북의 주요 현안과 미래 전략사업을 설명하며 설득 작업에 나섰다고 밝혔다. 앞서 김 지사는 지난 21일 박정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을 만나 추경 예산 반영을 요청했고, 24일에는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과 허영 국회 예결위 간사를 차례로 만나 설득에 나섰다.
이번 추경안은 총 12조 2천억 원 규모로, 정부는 산불 복구, AI·통상 산업 지원, 내수 진작 등 시급한 현안 해결을 이유로 국회에 제출했다. 국회는 23일부터 상임위원회 심사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심의 절차에 들어갔다.
김 지사는 특히 이 과정에서 △전북·경북 초광역 AX 활성화(30억 원) △전북 AI 신뢰성 혁신 허브 구축(30억 원) 등 전북의 ‘미래 먹거리’로 꼽히는 디지털·AI 사업을 전면에 내세워 정부와 국회를 동시에 설득 중이다.
이외에도 △김제 용지 정착농원 잔여 축사 매입(85억 원) △군산항 유지준설(150억 원) △전북 스타트업 파크 조성(5억 원) 등 민생 밀착형 인프라 사업도 ‘지방소멸 대응’과 ‘균형발전’을 위한 필수 투자로 강조했다.
도는 이번 추경에 대응하기 위해 총 17개 주요 사업을 선별해 국비 확보를 위한 전략적 접근에 나섰으며, 지역 국회의원들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남은 심의 과정에서 예산 반영을 끌어내겠다는 계획이다.
김 지사는 “국비 확보는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전북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중대한 과제”라며 “남은 국회 심의 기간 동안 전북 자치도의 모든 역량을 쏟아 성과를 반드시 이끌어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