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등 부산지역 곳곳에서 땅꺼짐(싱크홀) 사고가 잇따르자 부산시의회가 정책토론회를 열고 해법 모색에 나섰다.
부산시의회는 대한토목학회 부산울산경남지회와 공동으로 28일 오전 '안전한 도시 부산을 위한 땅꺼짐 진단과 해법'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땅꺼짐 현상 등에 대한 원인 분석과 실효성 있는 예방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토론회에는 부산시의회, 부산시, 부산교통공사 등 관련 기관 및 학계·관련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부산시 지반침하 현황과 근본 원인 진단, 지층붕괴 위험 탐지 최신 기술 동향, 지하안전 통합관리 체계구축을 위한 제도 현황과 개선방향에 대한 주제발표를 가졌다. 이후 종합토론을 통해 다양한 시각에서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종합토론에서 김재운 부산시의회 건설교통위원장은 "초기 설계 시 주변 환경에 대한 검토가 이뤄졌다면 땅꺼짐 사고는 예방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부산교통공사를 꼬집었다. 이어 '눈에 보이지 않는 위험'을 먼저 관리하는 정책 기조의 전환을 당부했다.
박종철 부산시의원은 지하 매설물의 관리 주체에 대해 지적하며 '지하안전관리공단'의 설립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민순기 부산시 도시공간기획국장은 "유관기관들과 통합적인 관리를 이어가고 있음에도 부족함을 느낀다"라며 적극적인 행정과 체계적인 관리를 약속했다.
부산시의회는 이번 토론회를 통해 시민의 안전과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 개선과 해결책을 모색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지하공사 시 사전 지반조사 및 사후관리 강화, 통합지반정보시스템 구축, 시민 알림체계 개선 등 현실적인 정책 대안을 도출해 부산시 및 관계기관에 적극 제안할 계획이다.
부산시의회 안성민 의장은 "대처만 잘한다면 위험의 경고도 사고를 막는 기회가 될 수 있다"라며 "땅꺼짐은 변수가 아니라 이제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상수이다. 부산시의회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입법 활동을 이어가겠다"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