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가덕도신공항의 2029년 12월 개항이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28일 부산시 등에 따르면 가덕도신공항 부지조성 공사 수의계약 대상자인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공사 기간을 108개월(9년)으로 제시한 기본설계안을 국토교통부에 제출했다.
이는 국토부가 제시한 공사 기간은 84개월(7년)보다 2년 늘어난 기간이다. 컨소시엄의 설계안대로라면 가덕도신공항의 개항은 2035년에 이뤄진다. 컨소시엄 측은 총 공사비도 11조5천억 원으로 1조 원 증액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는 지난해 가덕도신공항 부지 공사 경쟁입찰이 연이어 유찰되자 수의계약으로 전환해 현대건설 컨소시엄을 대상자로 선정했다. 컨소시엄에는 현대건설, 대우건설, 포스코이앤씨 등이 참여했다.

부산시는 당혹스럽다는 입장이다. 김광회 부산시 미래혁신부시장은 이날 오후 부산시청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고 "부산시로서는 유감스러운 결과"라고 밝혔다.
김 부시장은 "신공항 공사는 84개월 내에 마칠 수 있도록 진행돼야 한다"라며 "2029년 개항이라는 목표에는 변함이 없다"라고 밝혔다.
이어 "84개월 공사기간은 정부 입찰조건이었고 충분한 기술 검토를 거친 것"이라며 "현대건설의 제안은 국토부가 판단하겠지만 적격 판단을 받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부시장은 또 "앞으로도 84개월 이내 신공항 공사를 마칠 수 있는 제안을 받아야 한다"라며 "추가로 공사가 지연되는 사유는 만들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국토부에 요구한다"라고 말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부산시 책임론'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김 부시장은 "부산시는 계약의 당사자가 아니기 때문에 행정적 조치는 현재로서 할 수 없다"라면서 "시는 국토부와 협의를 통해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부산지역 정치권에서도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제출한 기본계획안에 대해 비판이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 시정평가대안 특별위원회는 이날 오전 부산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대건설 컨소시엄의 계획안은 절대 수용할 수 없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최인호 특위위원장은 "문재인 정부 시절 가덕도신공항을 확정시켰고 관련 예산만 1조5천여억 원을 국회가 확정하도록 주도했던 우리로서는 어이가 없을 뿐"이라며 "대한민국 항공정책과 부산시정의 난맥상이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준공 연기에 대해 진상조사단을 구성하겠다"라며 "2029년 이후 준공 계획이 공식 확인되면 박형준 부산시장과 박상우 국토부 장관 사퇴 운동을 전개하겠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부산시는 기본설계안에 대해 중간보고를 받았을 것"이라며 "중간보고를 파악하지 못했다면 직무태만 넘어 직무유기 수준"이라고 맹비난했다.

다만 가덕도신공항 건설 사업은 턴키 방식으로 사업자가 제출한 제안서를 정부에서 검토한다. 정부가 용역을 발주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중간보고는 이뤄지지 않는다.
현대건설 컨소시엄 역시 우선 협상 대상자로 지정됐을 뿐 정식 계약은 맺지 않은 상황이다. 기본설계가 조건을 충족할 경우 가계약을 체결하고 실시설계가 통과되면 본계약에 들어간다.
국토부는 이와 관련해 현대건설 측에 공사기간 연장에 대한 구체적 사유와 설명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또한 합동 TF를 즉시 가동해 현대건설이 설계를 보완하지 않을 경우 재입찰에 나설 수 있다는 의사를 보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