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가 총 1조 1천억 원 규모의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사업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대전시는 공구 분할발주와 지역업체 우대 방침을 통해 자본과 인력의 지역 내 선순환을 유도하고 지역 건설업계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방침이다.
이번 트램 건설공사를 현장 특성에 맞춰 토목 17건, 기계·소방 6건, 전기 15건, 신호 6건, 통신 12건 등 총 56건으로 세분화해 발주했다.
또한 입찰 단계에서는 지역업체의 참여비율을 최대 49% 이상으로 명시해 수주기회를 확대했으며 시 조례에 따라 하도급의 70% 이상을 지역업체가 담당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실질적으로는 80% 이상 지역업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시공사와 협력해 철저히 관리할 계획이다.
토목, 전기, 신호, 통신공사 등 건설사업관리(CM) 용역에서도 공구별로 30~70%를 지역업체가 수행하고 있으며 폐기물 운반 및 처리 용역의 경우 116건 중 114건을 지역업체가 수주해 230억 원 중 200억 원 이상이 지역에 환류될 전망이다.
현재까지 체결된 21건, 2300억 원 규모의 공사계약 가운데 지역업체가 주관사로 참여한 건수는 18건(토목 4건, 전기 8건, 통신 6건), 협력사로는 토목 3건이 참여했다.
이 중 지역업체 수주금액은 총 1260억 원으로 전체 계약금액의 54%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폐기물 용역 44건은 총 90억 원 규모로 전량 지역업체가 수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시는 이 외에도 지역 장비 및 자재 우선 사용, 지역 인력 및 교통 신호수 투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역 자원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대한건설협회, 한국엔지니어링협회 등 지역 건설 관련 단체들과의 정기 간담회를 통해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고 지역경제 선순환 체계 구축에도 힘을 쏟을 계획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이번 트램 건설사업이 약 2조 4590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9808억 원, 1만 6190명의 취업유발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트램 건설은 단순한 교통 인프라 구축을 넘어 지역경제 회복과 도약의 핵심 동력이다”라며 “지역경제가 성장할 수 있도록 시공과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