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가 축산업의 고질적인 환경 문제 해소와 주민 신뢰 회복을 위한 해법으로 ‘깨끗한 축산농장’ 확대에 다시 속도를 내고 있다. 단순한 환경 정비를 넘어 축산업 전반의 체질 개선을 꾀하는 구조적 전환 정책이다.
전북도는 지정 농가에 각종 지원사업을 우선 적용하고, 신규 희망 농가에는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제도의 안착을 본격화하고 있다. 축산 악취와 가축 질병을 줄이고, 소비자 신뢰 회복과 생산성 향상까지 도모하겠다는 전략이다.
‘깨끗한 축산농장’은 농림축산식품부 인증 제도로, 축사 청결 유지, 가축분뇨 처리, 소독시설 설치, 사육 밀도 유지 등 일정 기준을 충족해야 지정된다. 한육우, 젖소, 돼지, 닭, 오리, 말 등 모든 주요 축종이 대상이다.
전북도는 지정 농가를 대상으로 ‘우수 깨끗한 축산농장 지원사업’, ‘고품질 축산물 생산지원’, ‘음용수질 개선장비 지원’ 등을 운영 중이다. 폭염 스트레스 완화제 등은 일반 농가보다 높은 단가로 지원되며, 축사 현대화사업 등에서는 가점도 부여된다.
참여 절차는 간소화됐다. 시·군을 통해 신청하면 컨설턴트가 현장을 방문해 지정 요건 진단과 보완 사항을 안내하고, 이후 축산환경관리원의 심사를 거쳐 농식품부가 최종 지정한다. 도는 홍보물 배포와 생산자 단체 대상 홍보도 병행 중이다.
전북은 현재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깨끗한 축산농장’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1223호로, 전국 7217호 가운데 약 17%를 차지한다. 정읍(185호), 남원(170호), 김제(158호), 부안(135호), 익산(132호) 등 주요 시·군을 중심으로 지정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제도 시행 초기인 2017년 134호에서 출발해, 2020년 736호, 2024년 1223호로 꾸준히 증가했으며, 도는 올해 안에 누적 1350호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재용 전북도 농생명축산산업국장은 “깨끗한 축산농장은 농가의 자발적인 청결 관리 노력이 핵심”이라며 “소비자 신뢰와 지속가능한 축산 기반을 위해 농가의 적극적 참여를 계속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