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호남 8개 시도지사들이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에 국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전북자치도가 제안한 ‘국가 차원의 지원체계 구축’이 제19회 영호남 시도지사 협력회의 공동성명서에 포함되면서다.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가 특정 지역의 의제를 넘어, 지방 연대의 상징 과제로 부상한 셈이다.
1일 경남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열린 이번 회의는 박완수 경남도지사를 의장으로, 전북을 비롯해 부산·대구·광주·울산·전남·경북·경남 등 8개 시도지사가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시도지사들은 지방소멸, 수도권 집중, 지역 간 격차 등 구조적 문제를 돌파하기 위한 공동 과제 16건을 채택하고, 이를 차기 대통령선거 공약에 반영할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전북이 건의한 ‘전주 하계올림픽 국가 지원체계 구축’은 수도권 중심 국제행사 유치 관행을 넘어서려는 시도로 평가받았다. 영호남 시도지사들은 전북의 제안에 전폭적으로 공감하며, 지방 중심의 국제 스포츠 이벤트가 수도권 일극 구조를 깨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공동성명서에는 이 같은 내용이 고스란히 담겼다.
회의에 참석한 시도지사들은 “전주 하계올림픽은 전북만의 유치전이 아니라 영호남 전체가 함께 도약할 수 있는 기회”라고 강조하면서, 정부에 국가 차원의 제도적 지원과 체계적인 이행 방안을 마련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특히 지방도시 간 연대를 기반으로 한 개최 모델은 지방소멸 대응 전략으로도 실효성이 높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공동성명에는 전주 하계올림픽 외에도 영호남을 잇는 광역 교통망 구축 사업들이 함께 포함됐다. ‘전주-대구 고속도로 건설’과 ‘전주-김천 단선 철도 건설’은 수도권 집중 완화와 지역 간 연계를 위한 기반 인프라로 지목됐다.
전북을 대표해 회의에 참석한 김종훈 경제부지사는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는 지역 균형발전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지방도시가 중심이 되는 올림픽을 통해 전북과 영호남이 함께 성장하고, 나아가 국가발전의 새 틀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공동성명서에 전북의 현안을 포함시켜준 모든 시도에 감사드리며, 국가 차원의 실질적 뒷받침이 이어질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