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리는 오르는데 대출은 막막했다. 이 기금 아니면 시작도 못 했다.”
정읍에서 스마트팜 시설을 준비 중인 30대 청년농 A씨는 최근 전북도가 운영하는 ‘농림수산발전기금’ 융자를 신청했다. 거치기간 동안 무이자 혜택까지 제공된다는 사실에 망설일 이유가 없었다. A씨는 “이런 현실적인 지원 조건을 본 적이 없다”고 말하며 기금 신청을 결정한 이유를 밝혔다.
전북특별자치도는 3000억 원 규모로 운용되는 농림수산발전기금을 통해 농어업인들에게 실질적인 금융 지원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 기금은 연 0~2%의 저금리 융자와 최대 30억 원까지 지원 가능한 조건을 제공, 금융 접근성이 낮은 농어업인들에게 사실상 ‘마지막 자금줄’ 역할을 하고 있다. 올해 다섯 번째 접수는 오는 5월 23일까지다.
특히 주목되는 건 청년농 대상 조건. 전북도 내 6개 시군(정읍, 남원, 김제, 임실, 순창, 부안)이 자체 출연한 기금을 활용해, 해당 지역의 청년농은 시설자금과 경영회생자금을 거치기간 동안 무이자로 빌릴 수 있다. “단순한 자금 지원을 넘어, 농업 진입 장벽을 낮추는 정책”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실제 기금 신청 건수는 최근 2년 사이 3배 이상 증가했다. 2023년 1분기에는 20건(13억 원)에서 2024년 같은 기간에는 44건(54억 원)으로 늘었다. 농업 규모화, 가공·유통 다변화 등의 흐름 속에서 기금 수요는 단순히 ‘경영 유지’에서 ‘성장 자금’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전북도는 이번 접수를 포함해 연중 순차적으로 융자 신청을 받는다. 사업자는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서를 제출하면 심사를 거쳐 대출 여부와 금리 조건 등이 결정된다.
한편 전북도의 농림수산발전기금은 1993년 조성 이후 꾸준히 지원액을 증가시켜왔다. 2024년 말 기준 조성액은 313억 원, 대출 가능액은 3000억 원으로, 전국에서 제주도에 이어 두 번째 규모를 자랑한다. 제도권 금융의 보호가 미치지 못하는 사각지대에서, 공공기금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재용 전북자치도 농생명축산산업국장은 “금리 인상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농어업인들에게 이번 기금이 실질적인 금융 지원이 되기를 바란다”며 “청년농을 포함한 농업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기금이 신속하고 적시에 지원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