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광주 시민들에 막혀 5·18묘역 참배 못한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입니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광주 시민들에 막혀 5·18묘역 참배 못한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입니다"

29분간 대치 끝에 참배 불발

"내란 주범 한덕수는 물러나라! 여기가 어디라고 왔느냐!"

2일 대선 출마를 선언한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이날 오후 참배를 위해 국립 5·18민주묘지에 도착하자, 두 개의 진영이 맞섰다.

한 전 총리의 지지자들은 '한덕수 대통령 후보 5·18 묘역 참배 환영'이라는 붉은 띠 아래 "한덕수!"를 연호했다.

▲2일 대선출마를 선언한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국립 5·18민주묘지에 도착해 민주의 문을 향해 걸어가고 있다.2025.05.02ⓒ프레시안(김보현)

반면 '내란청산·사회대개혁 광주비상행동'은 "내란 공범은 감옥으로 가라"는 외침으로 한 전 총리의 참배를 반대했다.

이들은 1시간 30분 전부터 묘역 앞에 자리를 잡고 참배를 규탄하는 릴레이 기자회견을 이어갔다.

보수 지지자들과 시민들 사이엔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참배 반대 시민단체가 "한덕수는 감옥으로!"라고 외치자 "5·18이 너희 것인가", "이재명한텐 왜 한마디 못하냐"는 거칠게 항의하는 등 양 측간 고성과 욕설이 뒤섞였다. 일촉즉발의 상황이 이어졌지만 다행히 큰 사고는 없다.

▲2일 국립 5·18민주묘지 입구 인근에서 양측 지지자 간 고성과 몸싸움이 벌어졌다.'한 너구리는 빠꾸'라는 손팻말을 든 시민과 한덕수 전 총리 지지자간 고성이 오가고 있다.2025.05.02ⓒ프레시안(김보현)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길이 막힌 한 전 총리는 묘역의 정문인 '민주의 문' 앞에서 발걸음을 돌릴 수밖에 없었다.

한 전 총리는 시민들 앞에서 "서로 사랑해야 합니다. 저도 호남 사람입니다. 노력하겠습니다"라고 외쳤지만, 참배 반대 시민들은 더 이상 허락하지 않았다.

결국 한 전 총리는 참배를 하지 못한 채 29분 만에 현장을 떠났다. 오후 6시 4분, 그를 태운 버스는 묘역을 빠져나갔다. 시민들은 그의 뒷모습을 향해 "다신 오지 마라"는 말을 던졌다.

이날 광주비상행동은 "5·18을 이미지 세탁 수단으로 삼으려는 대선 행보는 내란 세력의 재집권 기획의 일환"이라며 "광주시민사회는 내란 주범 한덕수의 이미지 세탁을 위한 국립묘지 참배를 거부한다"고 비판했다.

▲2일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서로 사랑해야 합니다! 저도 호남사람입니다!"라고 외치고 있다.2025.05.02ⓒ프레시안(김보현)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김보현

광주전남취재본부 김보현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