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대선을 앞두고 광주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으려다 시민들의 거센 반발에 막혀 철수한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5·18을 '광주사태'로 지칭한 것으로 알려지자 5월 단체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5·18민주화운동 공법3단체(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와 5·18기념재단은 4일 공동성명을 내고 "한 전 총리가 '광주사태'라는 용어를 입에 올린 것은 5·18 희생자와 유가족, 광주시민, 그리고 국민 전체에 대한 모욕"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 전 총리는 지난 3일 헌정회를 방문한 뒤 기자들에게 국립 5·18민주묘지 참배가 무산되자 "호남 사람"이라고 외친 상황을 설명하며 '광주사태'라는 표현을 썼다.

단체들은 "5·18은 국회, 헌법재판소, 행정부가 모두 '민주화 운동'으로 공인한 역사"라며 "'광주 사태'라는 표현은 이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중대한 역사왜곡"이라고 규정했다.
또한 “전두환 군사정권 시절 고위 공직 경력을 바탕으로 국무총리에 오른 한 전 총리는 내란세력에 복무했던 인물"이라며 "그러한 이력에도 반성과 성찰 없이 이제 와서 '호남 출신'을 강조하며 표를 얻기 위해 기억의 현장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성명서에는 △5·18민주화운동 명칭 왜곡에 대한 공개 사과 △희생자·유가족·광주시민에게 참회와 입장 표명 △5·18 정신 훼손에 책임을 지고 정치행보 중단 등 요구사항도 담겼다.
단체들은 "역사를 왜곡하는 자는 미래를 말할 자격이 없다"며 "광주의 눈물을 선거의 도구로 삼는 자는 결코 국민의 선택을 받을 수 없다"고 못박았다.
한편 한 전 총리는 지난 2일 광주를 찾아 국립5·18민주묘지 참배를 시도했지만, 시민사회의 강한 반발에 부딪혀 묘역 진입조차 하지 못한 채 무산됐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