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스승의 날에도 지혜복 교사는 거리에 있습니다. 지혜복 교사는 A 학교 성폭력 사안 해결과 부당전보·부당해임·형사고발 철회를 위해 500일이 다 되도록 거리에서 싸우고 있습니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외면하고 있지만, 청소년과 학생과 말벌 동지와 양육자와 노동자들이 지혜복 교사와 맞잡은 손은 오늘도 굳셉니다. "우리에게 지혜복 선생님이 필요합니다"라는 이들의 목소리를 전합니다. 편집자.
나는 학교폭력 피해자다. 지속적인 괴롭힘을 당해서 그런지 나의 학창 시절은 우울한 편이었다. 폭력을 해결할 수 없을 것이라는 무력감에 시달리며 중학교 시절을 보냈다. 한참이 지나 성인이 된 지금 지혜복 교사와 연대하며 나의 중학교 시절을 다시 떠올리곤 한다.
중학교 시절 소위 '일진'이라 불리던 아이들이 있었다. 그 아이들은 나를 놀리곤 했다. 그러다가 어느 날은 그 아이들 중 하나가 놀리는 것을 넘어서 내 목을 조르는 일이 생겼다. 나는 괴롭힘을 참을 수 없어서 선생님께 나의 일을 해결해 달라고 부탁했다. 그러자 선생님은 나와 가해 학생을 한 곳에 불러모아서 억지로 화해를 시켰다. 그 이후로 나는 선생님께 말했다는 이유로 더 심하고 지속적인 괴롭힘에 시달려야 했다.
아무것도 해결된 것이 없었다. 폭력만이 남았다.
A 학교 지 교사의 사건을 다시 들어보자. 교내 성폭력 사실을 인지한 지 교사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나섰다. 그러나 학교와 교육청 측은 이를 무마하려고 부당 전보 조치를 했다. 이에 항의한 지 교사는 공익제보자 지위를 인정받지도 못하고 부당하게 해임을 당했다. 결국 교내 성폭력 사실은 해결되지 않았다. 그리고 피해 학생들은 2차 가해까지 당해야 했다.
역시 아무것도 해결된 것이 없었다. 역시 폭력만이 남았다.
두 상황은 모두 학교 측이 교내에 발생한 폭력 문제를 덮으려고 했으며, 이로 인해서 폭력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당사자가 더 큰 피해를 겪어야 했다는 점에서 비슷하다. 나의 중학교 시절과 A 학교의 사안 사이에는 10년이 넘는 차이가 있음에도 학교는 전혀 바뀌지 않고 여전히 폭력을 재생산하는 공간으로 남아 있다.
이런 조치에는 해당 유형의 폭력을 가벼운 일로 생각하는 교사, 학교, 교육청의 태도가 담겨 있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폭력은 으레 있는 일이라는 생각, 폭력의 일상화 말이다.

지난해 교육부에서 발표한 학교폭력실태조사에 의하면 내가 당한 '신체폭력'의 비중은 2023년 17.5%에서 지난해 15.5%로 줄어드는 추세를 보인다. 반면 A 학교와 같은 젠더폭력의 추세는 어떠한가? 같은 기간 5.2%에서 5.9%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지속적인 학교폭력 교육으로 신체폭력은 명확한 폭력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젠더폭력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성별 위계를 통해 상대방에게 가하는 신체적, 정신적 폭력 또한 폭력이지만, 유난히 학교 안에서는 이에 대한 인식이 없다. 같은 반 여학생을 성적인 대상으로 표현하는 언어폭력과 같은 것이 문제라고 인식하지 않는 식이다. 이를 신고해도 피해 학생을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다. 학교에 젠더폭력이 일상화된 것이다.
이러한 학교의 분위기는 상당히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학교라는 공간은 오래전부터 수직적인 구조로 인한 위계 관계가 있었다. 교사와 학생의 관계, 교사와 교사 사이의 위계, 학생 사의 위계 등이 존재해 왔다. 위계가 만연한 분위기 속에서 힘의 위계에 의한 폭력, 젠더의 위계에 의한 폭력 등은 유표적인 것으로 인식되기 어렵다. 그렇게 학교는 힘에 순종하는 법, 위계에 적응하는 법을 배우는 공간이 된다. 이런 학교의 분위기에 교사와 학생 모두가 익숙해진 상태로 지내왔다.
그러나 지 교사는 순응하지 않고 목소리를 냈다. 교내에 성폭력이 상당히 흔하며 많은 여학생들이 피해자라는 사실, 그리고 피해 학생을 보호해야 한다는 경고의 목소리를 낸 것이다. 위계에 적응된 학교와 교육청의 관리자에게는 지혜복 교사의 목소리가 그저 듣기 싫은 목소리로 다가왔을 것이다. 그렇기에 교내 성폭력 문제를 피해자의 입장에서 해결하지 않고 문제를 덮으려고 했다.

문제를 덮기 쉽지 않아 보인다. 매일 아침에 있는 서울시교육청의 출근 선전전에 다양한 시민들이 연대하고 있으며, 집중집회에서 지 교사의 복직과 A 학교 성폭력 사안 해결을 위한 목소리를 같이 내고 있기 때문이다.
연대 시민들은 발언을 통해 학교를 다녔을 때 겪은 자신의 경험과 상처를 나누기도 한다. 연대 시민 중에는 지 교사와 같은 교육노동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직업과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있다. 이들이 내는 다양한 연대의 목소리는 모두 더 나은 교육현장을 바라는 열망이 담겼다. 각자가 경험한 학교 속의 위계와 이로 인한 폭력을 기억하고, 지금의 아이들이 더 이상 그런 위계에 상처받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 모였다.
나도 같은 마음이다. 내가 당했던 폭력을 다른 누군가가 당하지 않길 바란다. 나처럼 학교의 무관심으로 인해 무기력하게 그저 폭력에 시달리는 일이 없길 바란다. 이 바람이 지혜복 교사의 투쟁과 연결되어 있다고 믿는다.
지 교사의 투쟁에 연대하면서 우리는 모두 앞으로의 교육이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 이야기한다. 앞으로의 학교는 '그간의 위계와 폭력을 걷어내고 구성원 모두가 평등하고 서로를 존중하는 학교', '포괄적 성교육 등으로 젠더에 따른 위계를 조성하지 않고 성평등한 학교'여야 한다는 등의 구체적인 모습을 그려보기도 한다.
지 교사의 투쟁은 한 개인에게 국한된 투쟁이 아니다. 더 나은 교육현장을 위한 우리 모두의 투쟁이다. 그러니 교육의 미래를 그려 나가는 이 투쟁에 많은 이들이 동참하여 가꿔 나가길 바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