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 광양시가 1차 추경안에 비해 487억 원이 늘어난 1조 1924억 원 규모의 2차 추경안을 광양시의회에 체출했다. 대·내외적으로 불확실한 정세와 경기 침체상황을 고려해 본예산 미반영 사업과 민생안정과 취약계층 지원이 핵심이다.
9일 광양시에 따르면 이번에 제출한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은 일반회계 1조 128억 원, 특별회계는 1796억 원이다.
세입은 지방세가 100억 원(지방소득세 80억 원·주민세가 20억 원), 국고보조금 76억 원, 지방균형발전특별회계보조금 48억 원, 시·도비 보조금 45억 원, 지방교부세 43억 원, 조정교부금 39억 원, 기타 전년도이월금 등 117억 원을 포함해 총 487억 원이 늘었다. 이 중 가용재원은 231억 원 정도다.
세출 부문은 산업·중소기업 및 에너지 분야의 비중이 가장 컸다. 전 회차 추경안보다 97억 원이 늘면서 27.8%가 증가했고, 수소산업 육성 분야도 균형발전보조금 50억 원, 도비 15억 원, 시비 5억 원 등 70억 원이 추가 배정됐다.
이외에도 △공공질서 및 안전 14억 원(4.8%) △교육 8억 원(0.7%) △문화 및 관광 5억 원(0.9%) △사회복지 129억 원(4.4%) △보건 35억 원(11.1%) △농림해양수산 89억 원(8.3%) △교통 및 물류 95억 원(10.4%) △국토 및 지역개발 54억 원(3.8%) △기타 67억 원(4.9%) 등이 늘었다.
반면 예비비는 56억 원이 감소해 전 회차 대비 46%감소했다. 예산총칙에 일반회계 예비비가 43억 원으로 규정하면서 재해·재난목적 예비비가 15억 원 줄고 내부유보금 40억 원은 전액 삭감됐다. △일반공공행정 30억원(3.5%) △환경 15억(1.1%) 등도 예산이 감소됐다.
이번 추경은 대·내외적으로 불확실한 정세가 이어지고 경기 침체상황을 고려해 미처 본 예산에 반영되지 못했던 사업이나 취약계층을 위한 복지 예산 등이 추가 편성됐다는 것이 광양시의 설명이다.
실제로 이번에 편성된 세출예산 중 눈에 띄는 부분은 소상공인 시설개선 5억 원, 소상공인 금융기관 융자금 이차보존 2억 5000만 원, 난임부부 지원 3억 2800만 원(전액 시비), 전세사기 대출이자 지원 5억 3000만 원 등이다.
시 관계자는 "소상공인 지원, 난임부부 지원, 전세사기 등 민생 안정과 취약계층 지원에 최우선 과제를 두고 추경안을 편성했다"며 "지역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시민 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번에 제출된 2차 추경안은 오는 16일 예정된 제337회 광양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 예정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