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가 도내 화학물질 취급 실태와 사고 위험도를 전면 점검하며, 보다 정교한 안전관리 체계 구축에 나선다.
전북도는 12일 도청에서 '제3차(2026~2030년) 화학물질 안전관리계획 및 지역화학사고 대응계획' 수립을 위한 착수보고회를 열고, 5개년 계획의 추진 방향과 전략 마련에 들어갔다.
이날 보고회에는 화학물질안전관리위원회 소속 전문가, 유관기관, 시민단체, 연구진 등 30여 명이 참석해 현행 대응체계의 실효성과 한계를 짚고, 개선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계획은 도내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과 관리 현황을 분석해 연차별·위험도별 차등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사고 발생 전부터 수습, 주민 복귀까지 전 과정을 포괄하는 대응 프로세스를 재정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특히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대책, 주민 보호 방안 보완, 초기 대응 역량 강화를 주요 과제로 다룬다.
전북도 관계자는 “이번 용역은 단순한 행정 계획을 넘어 도민의 생명과 직결된 대응 체계를 체계화하는 작업”이라며 “전문가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대책으로 이어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