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불확실성 속 지지부진한TK신공항 건설을 두고 경북도가 ‘공동 시행자 지정’을 제안하며 사업 추진 방식에 변화를 요구했지만, 대구시는 신중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대구시는 이미 공영개발 방식으로 계획을 확정하고, 중앙정부와 자금 협의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에둘러 거절하는 모양새다.
대구·경북 온도차 여전
TK신공항 사업의 지연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경북도가 새로운 대안으로 ‘공동 시행자’ 방식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사업 지연이 우려된다”며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경북도는 지난 12일, <연합뉴스> 등을 통해 시·도 공동 사업시행자 지정과 함께 LH, 대구도시개발공사, 경북개발공사 등의 위수탁 참여를 제안하며 TK신공항 특별법 개정을 통한 사업자 자격 변경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으로는 현행 ‘종전부지 지자체장’에서 ‘이전부지 지자체장’으로의 변경을 골자로 한다.
그러나 대구시는 이미 작년 TK신공항 건설 방식으로 ‘대구시 직접 시행’의 공영개발 방식을 확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원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 3월에는 약 11.5조원 규모의 공공자금 기금 융자 신청서를 기획재정부에 제출해, 정부 자금 확보를 위한 중앙부처와의 협의를 진행 중이다.
대구시는 또 TK신공항 사업을 대선 공약 및 국정과제에 포함시키기 위해 노력 중이며, 이를 통해 국비 지원과 재정 안정성 확보를 도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경북도의 제안이 특별법 개정과 합의각서 재조정을 전제로 하고 있어, 이미 완료된 선행 절차를 다시 밟아야 한다는 점이다.
대구시는 “국토부, 국방부 등 중앙부처와의 추가 협의가 필요한 사안으로, 현실적으로 상당한 사업 지연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다만 대구시는 경북도와의 협력 필요성도 함께 언급했다. “TK신공항 사업비의 국비 지원과 공자기금 융자 확보를 위해 경북도와 협력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덧붙이며, 갈등보다 조율을 강조하는 메시지를 냈다.
한편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앞서 한 언론을 통해 “대선이 끝나고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공공자금관리기금' 융자 문제는 충분히 설득할 수 있는 논리가 있다고 본다”고 밝힌바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