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장애인시민본부(본부장 서미화 의원)가 '장애계 총괄 선대위'를 표방하며 본격적인 선거 체제로 돌입했다.
민주당 장애인시민본부는 13일 출범 기자회견에 이어 17개 시·도당 장애인시민본부와 254개 지역위원회를 선거체제로 전환했다. 시민본부 관계자는 "지역 곳곳을 누비며 현장 중심의 선거운동을 펼칠 계획"이라며 "특히 체육, 문화예술, 국제교류등 직능별 특별위원회를 운영해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활동등을 적극 전개한다는 방침"이라고 전했다. 시각장애인으로 민주당 비례대표 1번으로 당선된 서미화 본부장은 '10만 장애인 당원 시대'를 목표로 두고 있다.
문화예술특별위원회는 문화창조, 영화, 성우, 연극, 방송예술, 애니메이션, 방송연기자, AI 콘텐츠, 불교문화팀 등 다양한 분야로 세분화해 활동하며, 장애예술인의 참여와 지지를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경제 분야에서는 장애인중소기업위원회와 ICT융합위원회를 중심으로 관련 기업인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국제협력위원회를 중심으로 전쟁으로 인해 약 38만명에 이르는 부상 장애인이 발생한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도 논의 중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시민본부는 대변인과 총무, 기획, 정책, 홍보 등 선대본 조직을 갖추고 언론 홍보 등을 적극 펼치고 있다. 유튜브 채널 '서미화TV'는 교통약자 지원과 이동권 보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지금까지 200만 명 이상이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4월에는 국회도서관 강당에서 '제21대 대선 장애인 정책제안 페스티벌'을 열어 전장연, 부모연대 등 11개 장애인 단체가 제안하는 정책과 의견을 수렴한 바 있다. 이와 함께 청주, 울산, 전주, 광주, 제주 등 전국 곳곳을 돌며 지역 장애인 단체 및 언론과의 간담회를 진행허ㅐㅆ다.
장애인시민본부 측은 "궁극적인 목표는 이번 대선 승리를 통해 대통령 직속 '국가장애인위원회'를 설치하는 것"이라며 "여러 부처에 흩어져 있는 장애인 관련 업무를 통합, 조율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게 지지부진한 '장애인 권리보장법' 제정,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 발달·정신장애인 국가책임제 완성 등을 내걸고 있다.
서미화 본부장은 "차별받는 이들의 곁을 지키는 일이 나의 소임"이라며 "내란세력의 종식과 함께 '진짜 대한민국' 정부가 들어서면, 장애인을 포함한 사회적 약자들이 시민으로 이동하는 시대를 만들어내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