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사천 KAI 노조, 퇴직 임원 복귀 시도에 낙하산 인사 안돼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사천 KAI 노조, 퇴직 임원 복귀 시도에 낙하산 인사 안돼

정권 인맥 타고 돌아 올려는 전직 임원들…조직 내 불신 ‘임계점’

경남 사천 소재 KAI(한국항공우주산업㈜)노조는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내부에서 과거 퇴직했던 일부 전작 임원들의 복귀 움직임과 더불어 정권 교체 시기마다 반복돼 온 정치권 낙하산 인사 가능성이 불거지면서 조직 내부에 강한 불신과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KAI 내부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일부 전직 임원들이 대권 후보자들의 선거캠프에 대거 참여해 정치권 인맥을 바탕으로 다시 회사로 복귀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되면서 조직 내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는 전언이다.

노조측은 "이들은 과거 KAI에서 고위직 또는 자문역으로 재직했으나 내부 조직문화와의 괴리로 실질적인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며 "퇴직 후 외부 기업에서 경력 정체와 적응 한계에 부딪히자 다시 KAI 복귀를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KAI 전경. ⓒKAI

이와 관련해 일부 전직 임원들의 복귀 가능성이 내부에서 거론되고 있으며 이들이 외부 네트워크와 정치권 인맥을 통해 주요 보직 복귀를 타진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점차 확산되고 있다고 노조 측은 전했다.

여기에 정권 교체 시기마다 반복돼 온 낙하산 인사 논란도 다시 점화되는 분위기다.

KAI는 과거 여러 차례 정치권과의 연계 속에서 산업 전문성과 무관한 외부 인사가 사장으로 선임된 사례가 있어 이로 인해 경영 전략 부재와 정권 눈치보기식 경영, 조직 내 갈등 등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업계에서는 강구영 사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 재임 당시 선임된 인사인 만큼 오는 6월 대선 결과에 따라 정권이 바뀔 경우 교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KAI는 정부 지분이 높은 기업으로 정권 교체 시마다 사장이 교체되는 흐름이 반복돼 왔다.

KAI의 최대주주는 국책은행인 한국수출입은행으로 현재 26.4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노조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오는 9월 강 사장의 임기 만료 이후 후임 인선 과정에 정치권 인사와 퇴직 임원 복귀 시도 개입이 현실화될 경우에 내부 반발이 더욱 거세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노조는 “경영 실패에 대한 책임도 없이 정치 줄서기로 자리를 다시 차지하려는 악순환은 이제 끝내야 한다”며 “KAI는 정치권의 전리품이 아닌 국가 항공우주산업의 전략적 주체로서 책임 있는 경영과 공정한 인사 원칙이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KAI는 퇴직 임원 복귀나 외부 인사 선임과 관련해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다만 조직 안팎에서는 이번 인사와 관련한 불신과 우려가 커지는 만큼 정치적 배경을 가진 퇴직 임원들의 복귀 시도에 대한 강경 대응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파장이 예상된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김동수

경남취재본부 김동수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