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의 변호사'로 불려온 권영국 민주노동당(옛 정의당) 대선후보가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를 겨냥해 "노동운동에서 변절한 후보"라며 "압도적으로 패배시켜야 한다"고 날을 세웠다. 그러면서 "(김 후보를) 가장 잘 심판할 수 있는 후보가 권영국"이라며 "압도적 정권교체"를 위한 자신의 역할을 강조했다.
권 후보는 15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김 후보에 대해 "민주헌정 질서를 파괴했던 분(윤석열)을 비호하고 있는데 그 민주헌정 질서를 파괴한 것이 아니라면 이번 대선에 나올 자격이 있느냐"며 "윤석열 내란에 대해서 한 번도 사과한 적이 없다. 그리고 계속적으로 비호를 해왔다"고 비판했다.
권 후보는 "'내란 세력을 뿌리뽑자', '압도적 정권교체를 해야 된다'는 국민들의 정서가 대단히 강하다. 100% 공감"이라며 "그러려면 내란 세력인 김 후보를 압도적으로 패배시켜야 한다. 그래서 이재명 후보가 중도보수를 표명하고 지지율을 계속적으로 넓혀 나가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노동운동에 있어서 변절한 후보인 김 후보를 노동의 이름으로 가장 심판을 잘할 수 있는 후보가 누구냐, 역시 권영국"이라고 했다.
그는 "김 후보는 노동운동에 있어서 굉장히 상징적인 인물이었다"며 "그런데 1994년부터 완전히 자기가 왔던 길하고 반대로 가서 현재의 김문수가 예전의 김문수를 공격하고 있는 구도가 돼있다"고 했다. 그는 "노동운동을 하던 사람이 극우의 선봉장이 되다시피한 것"이라며 "이것은 결국 권력을 좇아서 계속적으로 자기 인생을 전환시킨 것 아니냐. 김 후보에 대해서는 사실상 평가할 만한 게 별로 없다"고 했다.
권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향해서는 "이 후보는 주로 '성장'을 이야기 하고 있는데 성장을 한다고 해서 내수가 살아날 수 있겠느냐"며 "그동안 제대로 된 분배가 이루어지지 못해서 순환 경제가 이루어지지 못한 건데 그런 부분에 대해 질문을 던져봐야 될 필요가 있겠다"고 향후 TV 토론에서의 정책 방향 토론을 예고했다.
권 후보는 한편 여성가족부 폐지를 대선 공약으로 내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를 향해 "늘 여성과 남성을 갈라치고 또 장애인과 비장애인에 대해서 대립을 시키는데, 통합의 목소리가 굉장히 중요한데 늘 그렇게 갈라치느냐"고 비판했다. 그는 "정치라는 것은 조정하고 통합해서 모두를 위한 정치를 해야 될 텐데, 늘 갈라치기 하는 표심만을 이용하는 그런 정치가 정말 우리에게 도움이 되겠느냐는 질문을 던지고 싶다"며 이같이 밝혔다.
권 후보는 약자에 대한 혐오의 배경에는 불평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 사회가 서로 분배가 제대로 되고 있지 않으니까 불평등으로 인해서 격차가 점점 심해지고 있다"며 "자신들의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는 사람들의 불만이 결국은 사회적 약자를 공격하는 쪽으로 가서 혐오가 이런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또 하나는 정치적인 문제가 있다"며 "양당 진영 정치를 보면 상대방을 악마화하고 공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불평등으로 인한 사회적인 혐오나 갈등을 오히려 진영 정치가 상대방을 악마화 하는데 조장역할을 해 왔다는 것이 혐오를 더 증폭시키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재벌들은 세계적인 수준으로 올라갔지만 일하고 있는 국민들은 상대적으로 계속적으로 가난해지고 있는 이런 불평등이나 차별 문제가 더 심각해지고 있다"며 "그래서 제가 이번 대선에서는 특히 커지고 있는 혐오, 이 부분의 갈등이 어디서 비롯되고 있는지 그리고 불평등이 이렇게 심화되고 있는데 이 부분이 분배가 되지 않는 부분으로 인해서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정확하게 알려야 될 필요가 있겠다"고 강조했다.
권 후보는 "우리 사회의 잘못된 부분 그리고 불평등이나 차별, 이런 문제를 개혁하는 것 이게 또 대단히 중요한 축인데, 이게 권영국의 역할"이라며 차별과 불평등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산 불평등이 너무 심화되고 있다"며 "부동산을 가진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그래서 이러한 자산 불평등의 문제까지를 함께 같이 해결해 나가는 방법을 찾아야 이런 혐오를 줄여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차별금지법 제정을 시급히 해야 된다"며 "불평등을 해소에 대해서는 노동에 있어서의 불평등, 법의 적용을 받지 못하는 노동자들이 1000만 가까이 늘어나고 있다. 이 노동시장 내에서의 불평등을 빨리 해소하지 않으면 이러한 갈등은 계속적으로 골이 깊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