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15일 비공개 비대위를 열고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 장예찬 전 청년최고위원을 포함한 21명의 복당을 공식 의결했다. 당은 ‘보수 통합’을 강조하며 이질 세력 수용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는 15일 국회에서 비공개 회의를 열고 당을 떠났던 21명에 대한 복당을 의결했다. 여기에는 박근혜 정부 시절 경제부총리를 지낸 최경환 전 의원과, 지난 총선에서 공천 취소 후 탈당했던 장예찬 전 청년최고위원이 포함됐다.
최 전 부총리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탈당 권유를 받았으나 수용하지 않았고, 국정원 뇌물 수수 혐의로 실형이 확정되면서 의원직을 상실했다. 최근 무소속으로 총선에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이번 복당으로 정치 재개에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장 전 최고위원은 과거 SNS 발언 논란으로 공천이 취소되자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했지만 고배를 마셨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장 전 최고위원의 복당이 청년 보수 진영의 재결집을 상징하는 행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번 복당 결정은 22대 총선을 앞둔 보수 진영 재정비의 일환으로, 당내 통합 행보에 속도를 내겠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지난 총선에서 이들과 경쟁했던 현역 인사와 지역 당협의 반응은 엇갈렸다.
조지연 의원(경북 경산)은 최경환 전 부총리의 복당을 두고 “환영한다. 치열했던 지난 총선 과정이었지만, 지금은 우리 당이 대선 승리를 향해 나아갈 때다. 아울러 지난 총선에서 국민의힘 경산당협을 끝까지 지키고 당의 승리를 위해 함께한 분들과의 신의는 소중히 안고 가겠다”고 밝혔다.
장예찬 전 청년최고위원 복당 관련 부산 수영구 당협위원회가 “장 전 위원의 복당을 취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장 전 위원은 총선 때 막말 논란 등으로 공천 취소를 받은 데다, 지난 2월에는 허위 학력과 여론조사 왜곡으로 1심에서 유죄판결을 받았다”고 꼬집었다.
한편 김문수 대선 후보는 “과거 당을 떠났던 인사들을 포용하겠다”며 국민의힘을 ‘용광로 정당’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지만, 복당 대상 인사에 대한 도덕성과 당내 수용성 논란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