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오월단체가 5·18 민주화운동 제45주년 기념식에서 군인들이 배치된 것을 두고 "가해자가 누구인지 잊었냐"며 비판에 나섰다.
5·18기념재단은 18일 성명을 내고 이날 오전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정부 주관 기념식에 대해 "행사의 기획과 연출 전반에서 민주주의를 향한 희생의 본질이 지워졌다"며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재단은 특히 △묵념 시 '전사자 추모를 위한 곡'이 배경음으로 쓰인 점 △헌화 도우미에 제복 입은 군인이 동원된 점 △기념식 무대 주변에 무장 군인이 배치된 점 등을 지적했다. 단체는 "광주를 짓밟은 계엄군을 연상케 하는 구성"이라고 평가다.
단체는 "정부는 기념식을 준비할 때 5·18이 왜 일어났는지, 누가 가해자였고 누가 피해자였는지를 되새겨야 한다"며 "묘지를 가득 메운 장비와 제복이 오히려 시민들에게 공포감을 줬다"고 지적했다.
정부 대표로 참석한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의 기념사 또한 도마에 올랐다. 5·18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 진상규명, 유공자 예우, 기념사업법 제정 등 핵심 과제에 대한 언급이 전무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재단은 "정부가 기념의 대상이 누구인지조차 잊었다"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날 기념식 현장에서는 또 다른 논란도 벌어졌다.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이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민주묘지를 찾았으나, 시민들의 거센 항의로 끝내 입장하지 못하고 발길을 돌렸다. 이날 현장에서 오월단체와 일부 시민들은 안 위원장을 향해 "사퇴하라"는 구호를 외쳤고, 행사장에 배치된 그의 명패를 떼어내는 등 거센 항의가 이어졌다.
안 위원장은 지난 2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사태와 관련해 '방어권 보장'을 담은 인권위 권고안 일부를 의결한 바 있다.
이에 오월어머니집과 5·18서울기념사업회는 지난 16일 성명을 내고 "안 위원장은 인권의 이름을 팔아 내란 수괴를 변호하는 자"라며 "기념식 참석 자격이 없다"고 비판한 바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