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가 2024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대전시는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에 따라 지난해 건물, 수송, 폐기물 등 주요 분야에서 총 35만 4000 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했다고 밝혔다.
이는 연간 목표치인 34만 5000 톤 대비 103%에 달하는 수치로 20년생 나무 약 5000만 그루를 심는 효과와 맞먹는다.
이 같은 성과는 시의 전략적 감축 정책이 주효했던 결과로 보인다.
건물 분야에서는 소형햇빛발전소 설치와 탄소중립포인트제 운영이 수송 분야에서는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이 주요 감축 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폐기물 분야에서는 매립가스와 음식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바이오가스를 에너지원으로 전환하며 가장 큰 감축량을 기록했다.
대전시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이날 개최한 회의에서는 2024년도 기본계획 이행 점검 결과가 심의‧의결됐다. 위원회에 따르면 평가 대상 사업 중 65%가 목표를 달성했고 29%는 정상 추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송 분야는 목표 달성률이 가장 높았고 폐기물 분야는 감축량에서 돋보였다.
대전시는 앞으로도 친환경 신교통수단 도입, 도시숲 조성, 자연휴양림 확대 등의 신규 감축사업을 적극 발굴하며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추진력을 높여간다는 계획이다.
유득원 대전시 행정부시장은 “기후위기는 갑작스럽고 강력하게 나타날 수 있는 위협으로 탄소중립은 그에 대한 유일한 해법”이라며 “대전시가 탄소중립 사회로 전환하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